블립 Bleep - 일상의 현실을 바꾸는 무한한 가능성의 발견
윌리암 안츠 외 지음, 박인재 옮김 / 지혜의나무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보다도 양자 물리학과 뇌 과학, 양자 뇌 이론, 무작위발생기 실험, 얽힌 마음(뇌) 실험 등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유효하게 역설하고 있는 책이다. 

 

도서가 분량도 만만한 편이고 서술이 단순해 가독성이 높은 것도 장점이다.

 

프랙탈 이론에 대한 언급은 한마디 언급한 것이 다이지만 프랙탈이 확장되는 그 역순으로 미시세계에 근접해 갈수록 상위 차원의 원의식, 초의식의 영향력하에 들어서는 것으로 해석 가능한 서술도 인상적이었다. 거대 규모로 물질화되는 과정의 역순인 그 근원적 차원에서 초의식의 영향이 주어질 수 있다는 것이 [물질의 궁극 원자 아누]에서의 오컬트 화학의 주장을 상기하게 해줬고 그래서 더 납득이 쉬웠다.

 

이미 독서 습관으로 순간의 리뷰에서 4차례 남긴 단상들을 제외하고 이야기 하자면, 우리의 바람(욕망)은 물질세계로 현현되는 근원적 에너지의 작용이고 우리의 의지로 드러나며 그 의지를 통해 현실을 창조한다는 이야기가 일반적인 씨크릿 류의 이야기들과 다를 바 없었지만 과학을 배경으로 참 설득력있게 전개되었다고 생각된다.

 

무작위 발생기 실험으로 개인과 집단의 의지가 실제적인 영향을 보인다는 것을 수긍하게 했고, 얽힌 마음(뇌) 실험은 우리가 양자 얽힘과 같이 우리의 마음도 얽혀서 서로에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증거가 된 듯하다. 

 

우리는 외떨어진 홀로가 아니고 서로를 통해 존재한다는 근거일 수도 있고 현실은 우리가 창조한다거나 제어할 수 있음을 증거하는 실험들이지 않은가 싶다. 

 

사실 [홀로그램 우주], [우주의 홀로그래피], [필드], [물질의 궁극 원자 아누] 등을 통해 이미 접해본 내용들이었지만 다시 한번 재확인하는 시간이 된 것 같다.

 

좋은 인상을 남기는 책이지만 실제 변화를 유도하려면 그러니까 변화의 의지를 가지려면 이런 정보들에 대한 입력이 아니라 출력... 복기와 구현, 공유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하는데 복기는 리뷰와 단상을 남기며 했다지만 구현하는 것은 일상에서 작은 실천들을 반복했어야 할텐데 그런면이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공유는 구현의 이후에나 가능할테고 말이다.

 

* 무작위 발생기 실험은 불특정 숫자가 무작위로 발생되는 기계를 개인이나 집단이 일관성있는 (작위적인) 숫자 발생비율을 보이도록 영얗력을 행사하는 실험으로 대중의 이목이 집중된 사건 사고 같은 경우에도 무작위적이어야 할 숫자 발생이 일관성을 띠게 되는 결과를 보인 실험이다.

 

*얽힌 마음 실험은 서로만 생각하도록 제안 받은 사람 둘을 전혀 다른 공간에 두고 한 사람의 눈에 빛을 비춘다거나 피부를 바늘로 찔렀을 때 서로 제안 받은 다른 사람의 뇌파와 심전도 변화 등이 해당 사람이 빛을 눈에 비췄거나 피부를 바늘로 찔렸을 때와 같은 변화를 보이는 결과를 가져온 실험을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