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의 탄생]이라는 본 저작은 시나리오든 연극 대본이든 소설이든 집필을 위해 저술된 저작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자신의 생을 돌아보고 인생의 의미와 관계를 재정립하는데도 꼭 필요할 주제를 담고 있다.


저자는 심리학과 뇌생리학을 배경으로 집필에 필요한 요소들을 짚고 있지만 그가 주목케 하는 대목들 하나하나가 삶의 의미를 찾는 방식을 전하고 있기도 하다.


저자는 인간의 뇌는 관련없는 부분들에서도 인과관계를 찾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이야기한다. 그렇기에 인간이 갖는 세상에 대한 (모든 대상에 대한) 해석의 틀은 "인물의 통제된 환각으로서, 현실처럼 보여도 사실은 머릿속에만 존재하고 그 나름의 오류가 포함된 영역'이라고 한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만의 불완전한 해석의 틀(통제이론)을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게 세상을 자기 본위로 해석하고 통제하려는 인간의 내재적 성향은 자신을 영웅으로 타인을 악당으로 해석하도록 만든다고 한다. 이와 같은 성향이 인간의 결함을 증거하는 것으로 보고 저자는 '결함있는 인간'이라 인간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결함 있는 인간인 것이 당연하며 인간은 사회에서 결함있는 인간들이 충돌하며 또 자신의 삶에서 자신의 결함을 깨닫는 과정을 통해 거듭난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조지프 캠벨은 "한 인간을 진실로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 사람의 결함을 서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결함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사람을 저자는 영웅이라고 했다. 조지프 캠벨의 '영웅 여정'을 다시 보게 해주는 대목이 아닌가.


인간의 이기성과 이타성에 대한 이야기도 하는데 이기적인 인간을 보면 인간은 집단적으로 처벌하고 싶다는 욕구를 느낀다고 하는데 이를 '부족적 징벌'이라고 한다. 심리실험에 의하면 8개월 된 아기조차도 무조건 반사와도 같이 '부족적 징벌'의 성향을 보인다고 한다. 반면 이타적인 대상에 대해서는 8개월짜리 아기까지 심리실험에 의하면 모두가 호감을 보인다고 한다.  


반영웅과 영웅의 차이를 저자는 이기심과 이타성에 두고 있다. 결함을 인식한 인간이 영웅 여정을 걷는 과정은 자기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성을 극복하고 이타적 인간으로 거듭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의 해석의 틀(세상을 대상을 해석하는 관점)은 모두 결함이 있는 것이겠지만 그럼에도 인간은 목적 의식을 갖고 행동해 나아갈 때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행복을 느낀다고 한다. 


본서의 내용 중 일부만을 짚어 보았다. 본서가 집필을 위해 최적화된 책이라고는 하지만 삶에 대한 태도와 인간과 자신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하기에도 최적화되어 있지 않나 싶다. 집필에 뜻이 없는 분이라도 인간과 자기자신에게 관심을 갖는 누구나가 읽어 볼만한 저작이 아닌가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8-07 17: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하라 2020-08-07 17:43   좋아요 1 | URL
인간이란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존재 같아요. 그런 인간을 이해해 보려는 노력들이 담긴 책들을 보면서 점점 이해해 가려 노력은 하고 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