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을금화종지 기의 세계 3
여동빈 지음 / 북피아(여강)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2002년쯤 출간했던 본으로 그때 읽고 오랫만에 다시 읽어보았다.

핵심은 미간에 의념을 두고 호흡에 주의하며 수행하라는 것이다. (수행시간은 대략 중국향 한대 태울 시간인 1시간 반에서 두시간이거나 한두시진 즉 2시간에서 4시간으로 제시하고 있다) 주천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긴 하지만 소주천을 하기 위한 상세한 수행법은 기록 되어 있지 않다. 빛을 강조하기 때문에 빛을 인당으로 흡수하는 듯 의념을 해야할 것 같겠지만 후반부에 보면 빛을 돌리는데 있어 마음을 쓰지 말라거나 의식을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주의를 주는 대목이 있다. 


그를 근거 한다면 인도의 크리야요가 입문수행 처럼 아갸차크라에 의념을 두고 호흡을 주의해서 하는 것을 기초공법으로 삼을 뿐 빛을 흡수하는 것을 의념하는 수행방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크리야 요가] 저자 Sri Mukherjee /옮긴이 남연 / 도서출판 한길)


의념을 인당에 두고 수행하다보면 (본문에서는 산근혈이라는 지문도 있지만 일본판이 아니라 중국판을 담은 장을 보면 산근혈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요가에서 타라카라고 하고 불교수행에서 니미따라고 하는 신광(神光) 묘광(妙光)이 생겨나는데 그것을 두고 황금꽃이라 하는듯 하다. 선도에서도 이 빛의 획득을 입문시기의 중요한 성취로 보고 빛을 획득하고나서야 수행의 근간으로 들어선다고 보는 분파가 있고 요가도 그 분파에 따라 타라카를 획득하고서야 수행이 시작된다고 보는 경우가 있다. ([혼의 과학] 저자 사라스와띠 / 역자 나종우 정인스님 임승혁 / (주)영풍문고) ([요가 우파니샤드] 정태혁 역해 / 정신세계사)


그러니 그러한 입장에서 황금꽃(빛)으로 보아야지 빛을 상상하여 축적하는 수행법은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수행서의 번역본답게 실수행을 명료히 드러내기보다는 그 현상이나 수행 과정에 대해 은유적으로 묘사한 경우가 많다. 그나마 참동계천유 같은 수행서 보다는 받아들이기 쉬운 짧은 저작이긴 하지만 말이다. 


후반부의 리하르트 빌헬름의 번역내용과 주해 그리고 칼 융의 해설은 읽지 않았다. 과거에도 실수행법을 제시한 내용으로 보지 않고 인문학적 해설만 해 놓은 칼융의 해설을 보고 발암 돋는듯 했었기에 다시 읽어보지 않았다. 태을금화종지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이 궁금한 분들은 본서 보다는 문학동네에서 출간한 [황금꽃의 비밀]이라는 책으로 읽어보시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 그 책이 칼융의 해석과 리하르트 빌헬름의 번역과 주해로 되어 있는 독일어 본을 분석심리학자가 번역한 책이니까 분석심리학적 해석이 궁금한 것일 뿐이라면 그 책이 나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