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신화 - 바이킹의 신들 현대지성 클래식 5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지음, 서미석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중반부까지의 내용과 일관성 있게 단지 싫어서 기분 나빠서 서로서로 죽이는 내용들이 이어진다. 노래나 비가 등의 제목이 이어지는 내용은 상식과 훈계이지만 그걸 제외한 대부분의 내용이 살인과 파괴, 사기, 저주인 내용들이 중후반부의 내용이다.


기대했던 라그나로크는 모든 신들과 인간들과 죽은 자들 마저 일어나 싸우는 개념잡기 힘든 전쟁이다. 얘네는 전쟁의 이유도 없다. (신들과 거인들 중에는 예언능력이 있는 이들이 있어 최후의 전쟁이 라그나로크라는 것을 다들 알고 있고 누가 누구에게 어떻게 죽는지 까지도 알고 있다. 피치 못해 일어나는 전쟁이 아니라 예언을 완수하는 전쟁이 라그나로크인 것이다.) 라그나로크니까 그냥 전쟁하고 있는 것이다. 전쟁에 참여했던 대부분이 죽고 오딘 토르 로키할 것 없이 다 죽는다. 이후 살아남은 극소수의 존재들과 다시 살아나는 자 몇몇이 남고 세계는 바다에서 땅이 일어나며 한번도 개간된 적 없는 땅에 농작물과 자연이 살아난다는 내용이다.


세계는 다시 궁전들이 솟아나고 저택들이 솟아나 새로운 시작이 일어난다지만... 32장 라그나로크를 읽은 감상은 이 정도의 살육과 파괴라면 핵전쟁 규모의 종말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되었다. 신들의 세계와 인간세계, 거인들의 세계와 난쟁이의 세계와 꼬마요정들의 세계, 죽음의 세계들도 모두 붕괴되었다가 다시 솟아난다는 것이 핵전쟁 이후에 다시 재건하게 되는 세계상을 그려주는 것만 같았다.


인도 신화에서는 우주적 차원의 겨울에 비슈누신의 10번째 아바타 칼키가 현현하여 인류를 지켜준다고 한다. 이 대목에서 주목하게 되는 건 칼키라는 이 10번째 화신은 이제까지의 비슈누신의 아바타들과는 다르게 한명이 아니라 다수로 현현한다는 것이다. 결국 종말론적인 세상이라하더라도 다수가 이해와 의지를 함께 하고 행동한다면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은유 같았다. 이런 긍정적인 감상을 갖게할 해석을 갖고 싶어서 종말을 그린다는 라그나로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데, 북유럽 신화 속 라그나로크는 너무도 단순하게 모든 것이 종말을 맞이하여도 운좋게 살아남은 이들이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겠지 하며 약올리는 투라 이 신화를 어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종말이라도 그것은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기 위한 하나의 흐름이고 살아남은 존재들은 다시금 봄을 맞이하리라는 신화였다고 받아들여야할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1-14 00: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1-14 09:4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