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 다섯을 특별한 이유없이 떠올릴 일이 있을까. 돌이켜보면 시인 랭보가 스물 셋이 어쩌구 저쩌구 한것으로 그 시절을 뒤돌아보았고, 김광석이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다는 서른을 뒤돌아본 적은 있다. 아, 그러고 보니 스물 다섯도 김경미의 비망록 이라는 시 속에서 발견하고는 잠시 뒤돌아본 기억이 난다. 오늘 이 글은 랭보도, 광석이 형님도, 김경미도 아닌 파란여우님의 스물 다섯이란 페이퍼를 보고 문득 생각나서 끄적인다.
절벽엔들 꽃을 못 피우랴. 강물 위인들 걷지 못하랴. 문득
깨어나 스물 다섯이면 쓰다 만 편지인들 다시 못 쓰랴. 오래
소식 전하지 못해 죄송했습니다. 실낱처럼 가볍게 살고 싶어
서였습니다. 아무것에도 무게 지우지 않도록.
내 나이 스물 다섯에 군대를 제대하고 대학 3학년에 복학한 복학생이었다. 아직도 벗지 못한 촌티에 복학생 특유의 칙칙함까지 골고루 갖춘, 말 그대로 전형적인 복학생의 모습이었으리라 짐작한다. 커다란 가방에는 묵직한 전공서적과 노트들, 다시 읽기 시작한 데미안, 이문열의 삼국지, 거금을 주고 마련한 카시오 공학용 계산기, 첫사랑이 선물해준 여성스런(?) 낡은 헝겁 필통이 있었다. 독쟁이 고개의 곱창골목은 열악한 주머니 사정에 딱 어울렸고 시화전이 주로 열리던 호숫가 벤치는 낮잠의 장소였다. 잠결에 실눈을 뜨고 어느 시 동아리 회원이 쓴 협궤 열차 시를 읽고는 한동안 협궤 열차의 환상에 사로잡혀 고등학교 시절의 습작노트에 달랑 2편의 얼토당토한 시를 쓰고는 접어버렸다.
내 나이 스물 다섯에 새벽 인력 시장을 꽤나 돌아다녔다. 나와 동갑, 군 제대후 다시 대입시를 시작한 친구에게 꿈을 너무 오래 꾸지 말기를 술 취하여 열변 토하며 떠별리고는 미안한 마음 주체하지 못하던 시절, 주말이나 연휴기간은 그 녀석을 따라 노량진역 후미진 곳에 자리잡은 쪽방에서 칼잠을 자며 새벽마다 인력 시장을 들락거리곤 했다. 아침 커피가 끓고 노가다 이력이 얼굴에 훤히 드러나는 사람들 틈바구니 어색한 소파에 앉아 날이 밝아오는 모양을 지켜보곤 했다. 워커에 군복 바지, 조금이라도 비싼 일터로 가기 위하여 학생 신분을 속이고, 어른들 틈바구니에서 괜히 담배도 줄창 물고 있곤 했다. 일당 오만원을 거머쥐고 돌아오던 버스 안에서 바라본 63빌딩의 낙조, 문득 아름답다는 생각이 스쳐지나갔던 시절이다. 서울이 아름답다고 느낀 유일한 기억이다.
내 나이 스물 다섯은 첫사랑과 헤어진 이후 두번째로 어느 여인을 만났다. 스물 다섯도 거의 지나갈 무렵, 인턴사원으로 들어간 회사에서 우연찮게 만나서, 짧은 3주간의 기간동안 그런 감정이 싹트고 있었다. 처음 데이트를 한 날, 그녀가 잃어버린 가죽 장갑 한쪽을 찾기 위해 공단내 걸었던 길을 되짚어 걸으며 새벽까지 돌아다니다 감기에 걸렸다. 장갑의 상실과 감기몸살의 열병, 막 뜨기 시작한 녹색지대의 준비없는 이별, 이후 스물 여섯의 가을까지 이어진 만남의 쓰라린 추억의 징후였을지도 모른다. 다행히 스물 다섯에는 그런 이별과 열병에 휩싸이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