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국수를 끓였다. 조그맣게 한줌, 넣었다가 다시 또 한줌을 넣었다. 그가 원하는 국수의 양은 밥의 두세 배쯤 된다. 내딴에는 양껏 넣었다고 생각했는데 가끔 원망섞인 소리나 듣는다. 내 양을 아직도 몰라. 이쯤 되면 두말 않겠지 하고 빳빳한 국수를 풍덩 넣었다.
국수는 묘하게 끓는다. 공기 중에서는 약간의 힘만 받아도 똑똑 부러지는 것이 끓는 물에 들어가선 맥없이 무릎을 꿇는다. 폴싹 주저앉은 국수를 보면 약간 쓸쓸할 때도 있다. 겉으로는 의기양양한 체해도 금세 풀죽는 누구(누구긴, 나지)와 닮았다. 맥없어진 국수는 물밑에서 열심히 타래를 만든다. 하얀 실타래가 덩쿨덩쿨 솟아오르기 직전이다. 어릴 적엔 이런 실타래를 손에 끼고 할머니가 실을 감았더랬지. 나는 하얀 실타래에 냉정하게 찬물을 한 컵 부었다. 말갛지 못한 하얀 거품을 팔팔 일으키던 국수는 다시 주저앉았다. 이번에 부글거릴 때는 실타래의 색이 바뀌었다. 투명한 실이 저절로 감아오르며 일어올랐다.
국수를 찬물에 헹구고 보드라워진 면발을 그릇에 담았다. 그는 독한 술이 한 차례 훑고 지나간 속에 면발을 집어넣는다. 나는 그가 국수를 먹을 때마다 궁금해진다. 저 국수는 어디로 들어갈까, 하고. 그는 국수를 먹는 게 아니라 속에 쏟아붓는다. 이는 있어도 면발을 끓는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 그다지 잘게 부서지지 못한 면들은 꿀떡꿀떡 소리까지 내며 쏟아져 들어가는데 대체 어디로?
그는 면이 들어가는 데가 따로 있는 듯해, 라고 말했다. 그의 속이 분명한데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는 속이 있다는 건가. 그러고 보면 사람의 속은 참 신기해, 라고 나는 말했다.
*
어제 점심때가 한참 지났지만 라면을 끓였다. 내가 혼자 라면을 끓이는 일은 거의 없는데도. 허기가 졌다. 점심 무렵 빵으로 끼니를 해결했지만 속이 비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배가 고프다는 것보다는 속이 비었다, 는 표현이 옳을 텐데 그걸 채워야 하는지 잠깐 망설이기도 했다. 생각이 오만군데로 흐트러지고 주워담을 수가 없었다. 속이 비어서 그런 거야, 하지만 내 빈 속보다 빈 머리를 걱정했다. 빈 속에 라면 반 개쯤 채우면 빈 머리를 채울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라면을 먹었고, 조금 더 앉았지만 머리는 채워지지 못했다. 역시 판단력 부족이다. 하는 수 없이 책을 읽었는데 새벽녁쯤 덮은 소설이 자꾸만 생각났다. 설국의 고마코가 한 말이 맴돌았다. 괜찮아요, 어디서든 일할 수 있으니까. 징징거리지 않아요. 헛수고, 라는 말을 나는 거듭 썼는데 내 헛수고는, 내 빈 속은, 전혀 아름답게 느껴지지 않았다. 헛된 곤충의 죽음마저 소설 속의 그는 아름답다, 했는데.
아침에 국수를 끓였고, 역시 빈 속에 나도 그것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속이 채워지지 않아서 평소에 마시던 블랙커피가 아니라 하얀 프림과 설탕이 한움큼 들어간 커피를 마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