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쪽으로 튀어! 1 ㅣ 오늘의 일본문학 3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이번에 나온『남쪽으로 튀어!』는 무척이나 이채롭다. 오쿠다 히데오는 만화 같은 상상력으로 좌충우돌 실수담을 쏟아내 웃음판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 책에 나오는 우에하라 이치로는 우스꽝스러운 이기주의자 같다, 그는 세금을 내라는 구청직원에게 국민이라는 의무를 포기하겠다면서 마치 전쟁이라고 일으키려고 한다. 곧이곧대로 듣고 있으면 황당해서 웃지 않을 수 없다.
도대체 이 남자는 왜 이렇게 국가라는 괴물과 싸우려는 것일까? 솔직히 어른이 되고 보면 현실과 적당히 타협하며 살아가도 괜찮다. 누구나 젊었을 때 뜨거웠던 시간이 있었을 것이다. 이제는 아련한 옛 추억으로 간직하며 하자 없이 살아도 좋다.
그런데도 그는 여전히 고집을 부리며 더욱 날카로운 칼날을 들이 댄다 .그에게 사회주의 학생운동했던 추억은 과거형이 아니라 묘하게도 현재진행형이다. 이러니 평범한 사람들이 보기에 그는 사회 적응에 실패한 사람으로 변해버린다.
이 책은 일상을 안전하게 사는 사람들에게 싱거운 이야기이지만 일상을 탈출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박하사탕 맛이 날 것이다. 변화라고는 조금도 꿈꿀 수 없는 족쇄 같은 생을 그럭저럭 살아가기 보다는 희망 하나쯤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러나 우리는 희망만으로 힘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문제는 때로는 일상을 탈출하고자 하는 무모한(?) 도전에 있다.
누구에게나 꿈꾸는 방향이 있기 마련인데 이치로에게는 남쪽이었다. 그곳은 고향이었으며 그 보다 더 남쪽은 파이타티로아라는 유토피아였다. 국가라는 통제에서 완전히 벗어난 곳이다. 그가 끝내 그곳에 도착하는 것을 보고 그의 별난 행동과 별난 신념이 별난 감동을 일으켰다. 우리도 한 번쯤 내 멋대로 살아본다면 얼마나 좋을까?
일찍이 키에르 케고르는『현대의 비판』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현대는 본질적으로 분별의 시대고 반성의 시대며 정열이 없는 시대다. 잠시 동안 감격에 들끓는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무감동 상태로 결말이 나는 시대이다.” 다시 말하면 감동이 없는 삶은 우리에게 정열이 없다는 것이다.
그랬구나. 그가 별나게 살고자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열정 때문이었다. 앞서 말했듯이 우리는 탄탄한 집에서 좋은 사람을 만나 결혼해서 알콩달콩 살아가길 바란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그에게는 권태로운 일상이며 치명적인 독약이었다.
어디 그뿐인가. 말썽만 일으키는 자신을 부끄럽게 여기는 아들에게 “비겁한 어른은 되지 마. 이건 아니다 싶을 때는 철저히 싸워. 져도 좋으니까 싸워. 남하고 달라도 괜찮아. 고독을 두려워 하지 마라.”고 말하는데 알고 보면 그는 행복한 이기주의자를 꿈꾼 좀 특별한 사람이었다.
이처럼 현대인의 마음 하나를 흥미롭게 그리고 있는 오쿠다 히데오라는 작가는 참으로 매력적이었다. 우리가 늘 똑같은 사람에게 지쳤을 때 특별한 누군가를 만나고 싶어 하는데 그의 황당한 시추에이션은 안성맞춤이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웃음을 참지 못했다. 대리만족이 현실에 가까웠다. 그만큼 작가는 현대인의 자화상을 입체적으로 통쾌하게 비꼬고 조롱한다. 더욱이 간결하고 쉬운 문체로 표현된 그의 유쾌한 상상력은 읽는 재미를 충분히 맛보게 했다. 또한 간혹 허를 찌르는 문장들을 보고 있으면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오쿠다 히데오의 웃음과 뼈아픈 각성을 마주하는 순간 우리도 한 번 소신껏 살아보자는 희망이 팝콘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만끽할 수 있었다. 비록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라고 푸슈킨이 말해더라도 이것이 삶을 잘 사는 비법이라고 하면 비법일수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