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짜경제학 - 상식과 통념을 깨는 천재 경제학자의 세상 읽기
스티븐 레빗 외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사과 속에 왜 레몬이 들어있는 것일까? 무척 흥미로우면서도 책 제목만큼이나 괴짜 같았다. 그것은 뭐랄까, 그동안 우리가 당연하다고 믿어왔던 사실을 뒤집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레몬이 아닌 수박이나 포도가 들어있는 경우도 가능한 일은 아닐까? 이러한 나의 괴짜 같은 생각은 이 책을 읽고 나서야 그 진실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에 있었다. 저자는 이를 부동산 중개업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미묘한 노림수에 비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끝가지 읽어봐도 정보의 비대칭성과 레몬의 상관관계는 나오지 않는다. 아쉽게도 그 해답은 다른데 있었다.
이 책에 앞서 우리는 애컬로프라는 경제학자를 알고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 애컬로프는 <레몬 시장>이라는 논문에서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와 시장 관계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다. 그가 여기서 예를 든 것은 중고차 시장이다. 그에 따르면 중고차를 사려는 사람보다 파는 사람이 차의 결함을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고차를 구입하는 사람은 결국에는 겉만 번지르르한 레몬(흠이 있는 낡은 차를 가리키는 구어)을 비싼 값에 산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에게 이러한 정보의 그물망은 촘촘하지 않는다. 경제학이라는 다소 무겁고 머리 아픈 정보는 경제학자에게는 맡기고 만다. 이로 인해 우리는 더욱 정보의 비대칭 문제에 무관심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저자는 괴짜 경제학을 가지고 왔다. 괴짜라는 말이 나타내듯 상식을 거부한다. 상식은 곧 사회 통념이라는 그럴듯한 포장술로 인해 진실을 왜곡하고 만다. 그것은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거대한 도덕적 질서이다. 하지만 저자는 인센티브라는 강한 충격을 경제의 주요 동기로 보고 있다. 또한 인센티브가 피라미드라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즉 인센티브가 높을수록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가 강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렇게 경제학의 진실을 찾는 게임을 한다. 무엇보다도 그의 강력한 무기는 숫자라는 실증적인 수단이다. 사람의 마음을 계량화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숫자화 될 때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숫자를 조작하는 부정행위를 저지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숫자는 또한 거짓말을 그대로 보여준다.
가령, 낙태의 합법화가 범죄율을 줄였다고 한다면 엉뚱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낙태와 범죄율의 상관관계는 숫자를 통해서 명확해진다. 다른 어떤 범죄 예방 프로그램보다도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사회적인 문제가 꼭 책상에서 고민해서 나오는 이런 저런 정책에 의해서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삶은 자잘한 부분에서 뜻밖의 결과가 생겨나는 것이다. 어쩌면 나비효과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나비가 날아가기 위해서는 날개를 움직여야한다. 그만큼 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저자의 괴짜 같은 경제이야기들은 비범하다. 비범하다고 해서 다른 경제학자가 그렇듯 기념비적 논문을 발표하는 것은 아니다. 그의 비범함은 그동안 아무도 말하지 않았고 들을 수도 없었던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그의 괴짜 같은 질문과 대답이 한편으로는 매우 실용적이라는 것이다. 즉 우리가 진짜로 알고 있는 세상이 사실은 가짜라는 문화의 충격이 우리에게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히 읽어 볼만하다. 세상을 지배하는 법칙은 변하기 마련인데 그 변화의 흐름을 단순하면서도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과 속에 엉뚱하게도 레몬이 들어있는 사진은 결론적으로 괴짜가 아니다. 그것이 경제학의 숨겨진 사실이다. 그만큼 그의 통찰력이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