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법의 설탕 두 조각 ㅣ 소년한길 동화 2
미하엘 엔데 지음, 유혜자 옮김 / 한길사 / 2001년 5월
평점 :
아이를 키워보면 알겠지만 아이는 항상 재롱만 부리지 않는다. 때로는 고집을 부리며 속상하게 한다. 그러다 결국에는 아이는 아이대로 불만이어서 목이 터져라 울어댄다. 눈물, 정말로 닭똥 같은 눈망울이 뚝뚝 떨어지는 우는 아이를 바라보고 있으면 나는 나대로 가슴 한구석이 아프다. 그러면서도 솔직히 짜증이 묻어 나온다. 왜 아이는 내 마음을 몰라주는 것일까? 그렇다고 벌컥 화를 낸다든가 아이의 눈앞에서 갑자기 사라진다면 아이는 더욱 서럽게 울어댄다.
사실 이런 경험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매일 아이와 전쟁 아닌 전쟁을 하고 나면 몸과 마음이 피곤해진다. 하지만 아빠인 내가 아이에게 동정을 바랄 수 없는 노릇이다. 아이의 불만을 다스리려면 무엇보다도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는 것인지 알아야 한다. 즉, 아이가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을 어른의 눈으로 봐서는 안 된다.
그런 면에서 미하엘 엔데가 지은 이 책을 눈여겨봐도 좋다. 아이의 불만이 만들어내는 엉뚱한 상상이 전혀 밉지 않다. 그럴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다. 마법의 설탕을 먹으면 엄마 아빠의 키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것도 아이의 말을 듣지 않으면 말이다. 이제 아이는 자기 맘대로 할 수 있다. 더 이상 잔소리를 듣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난장이가 된 엄마 아빠가 아이로부터 잔소리를 듣는다. 이로 인해 어른들의 난감한 상황이 어떻든 간에 그 아이는 얼마나 기뻐했을까?
하지만 아이의 이러한 기쁨이 마냥 즐겁지 않다. 뭔가 가슴을 답답하게 하는 게 있다. 그것은 엄마 아빠라고 해서 항상 옳다는 식의 아이에 대한 간섭에 대한 반항이 아닐 수 없다. 엄마 아빠는 아이에게 똑똑한 소리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정작 아이는 시큰둥하다. 아이도 분명 생각하는 것이 있는데 혹은 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엄마 아빠는 아이의 그런 불만에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보니 아이에게 짜증을 내던 것이 여간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짜증을 내기 보다는 좀 더 아이의 입장이어야 했다. 이것저것이 무척이나 궁금하고 그러면서도 자기가 좋아할 때까지 계속 이게 뭐야, 라고 말하면서도 싱글싱글 웃어대는 아이를 보면서 왜 내 마음은 설탕이 물에 녹듯 달콤하지 못했던 것일까? 나 또한 정말로 마법에 걸린 설탕을 먹어야만 하는 것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