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아시아라는 대륙의 넓이가 워낙 크다 보니 각 나라와 민족의 풍습이나 종교, 관습이 많이
틀리고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은 매우 낮은 상태가 아닌가 한다.
내가 접하는 아시아는 주로 동북쪽의 중국과 일본이고 이 두 나라는 근대 아시아의 역사를
공유하면서도 다른 이질성을 지니고 있는 나라들이다.
조금만 더 내려가 동남 아시아나 중앙 아시아쪽으로 보면, 내가 아시아에 대해 얼마나 무지
한지 알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아시아 민족은 아직도 미개하고 게으르며 못살고 더러운
나라들이다. 뿌리 깊은 서양에 대한 해바라기성 찬미 의식은 속물적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오히려 같은 역사적 시공간과 사건을 겪은 아시아인들은 차별하는 의식으로 나아가고 있지
않은가?
이런 점에서 '아시아 리얼리즘'전은 근대 아시아 각 나라와 사회의 발전을 그림으로 보고
제국주의 침탈에서 독립까지, 독립 후 국가건설에 까지 각 나라의 당시 시대상을 비교
조명해 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문제는 '아는 만큼 보이는 그림'이 모르는 만큼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그림을 감상하면서, 내가 느낀 건 아시아에 대해 나는 참으로 무지하고 아는 것이 없다는
것이었다.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베트남.....주로 동남아 국가에 대해서는 정말 무지
하다는 사실 하나는 똑바로 깨닫고 왔다.
지식과 문화의 편중...그리고 편견...
이주노동자 문제도 그렇고 다문화사회에 대한 사회적 갈등의 문제도 그렇다.
서구의 시각이 아닌 같은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어떤 가치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우리
사회는 많은 이주민들에게 관용없는 무자비한 사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미 우리는 그런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서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그림... 좋은 기획이고 시도로 보인다.
다만, 중국 북쪽이나 중앙아시아의 그림들이 없다는 점이 조금 아쉽다고 할까?
아시아라는 대륙은 정말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