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의 23명의 한국인 피랍 사건도 벌써 열 하루째를 맞고 있다. 그 사이에 첫 피해자가 발생했다. 故 배형규 목사. 그의 피살 소식에 안타까워할 새도 없을 만큼 아직까지도 22명의 남은 피랍자들이 고통받고 있다. 하나님의 부름을 받아 소천하신 故 배형규 목사의 순교에 삼가 명복을 빈다.

42살의 옆집 아저씨같은 푸근한 인상, 아이처럼 헤맑게 웃으며, 어떤 일에도 화내지 않을 거 같은 마음씨 좋은 삼촌같은 모습의 저 사진을 보며 그의 죽음이 더욱 안타까워할 뿐이다.

9살의 어여쁜 딸아이, 그리고 그의 사랑하는 아내. 그들은 아빠, 남편의 죽음에 한 없이 슬퍼할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는 피랍자들의 희생이 더 이상은 없어야 할 것을 애원했다.

그렇다. 우리는 아직 맘 놓고 슬퍼하거나 위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그렇다고 의연할 수도 없고, 냉철히 비판할 수도 없다. 아직 위험에 처한 우리의 형제들이 있지 않은가? 무엇하나 해결되지 않은 지금의 상황에서, 고 배형규 목사의 죽음만이 존재할 따름이다.

그러나, 우리 너무 의연한 것이 아닌가? 한 생명이 그 귀한 목숨을 잃어버렸다. 그것만으로도 우린 충분히 슬프지 아니한가?

그들이 비판받는 이유가 죽어야할 이유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난 이렇게 말하고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고통받는 아프간의 민중들을 위해 희생을 자처했다고. 그런 그들의 희생을 우린 존경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우리 사회 전체가 침울하고, 아직은 촉각을 곤두세워 남아 있는 피랍자들을 구명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고 배형규 목사의 죽음에 대해서 우린 너무 의연하고도 냉정한 것은 아닌가? 그들이 뭘 그리 잘못했을까?

고 김선일 씨의 피살에 온 국민이 추모의 물결을 일으켰던 것을 기억해보면, 고 배형규 목사의 죽음이 한 없이 초라해진다. 온 국민이 고 배형규 목사의 죽음을 애도하고, 22명의 남은 피랍자들이 속히 구명될 수 있도록하는 촛불시위 같은 것은 고사하고라도, 우리 사회가 작게나마 저마다 슬퍼하고 안타까워해야 하는 것이 도리가 아닐까?

적어도 알라디너들은, 그 죽음 하나에 누구보다도 슬퍼하고 함께 울어줄 줄 알았었는데...

* 고 배형규 목사의 죽음은 거룩한 순교였음을 한국의 기독교계는 인정하고 그 순교에 값하는 태도를 보여주어야 할 것을 촉구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7-07-30 0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분 돌아가신 날, 꿈에서 테러를 당했어요. 꿈에서도 지독히 무서웠는데, 현지에서 겪고 계신 분들의 고통은 오죽할까요. 부디 한시라도 빨리 이분들이 모두 돌아올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멜기세덱 2007-07-30 13:39   좋아요 0 | URL
시간이 많이 지났는데요, 그들이 조금 더 힘을 내서 절망하지 않아야 될텐데요. 빨리 돌아올 수 있기를 저 또한 기도합니다.

비로그인 2007-07-30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는 배목사님의 죽음에 대해서 의견도 나누고 추모도 했는데
왠지 알라딘에서는 이야기 꺼내기 쉽지 않더군요.
제 자신이 참 비겁한거죠.
다시 한번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멜기세덱 2007-07-30 13:41   좋아요 0 | URL
비겁하다고야 할 수 있겠습니까마는, 그래도 이렇게까지 조용할 줄을 예상 밖이네요. 그러나 많은 분들이 고인을 애도하고 있으리라는 것을 의심하지는 않습니다.

승주나무 2007-07-30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 배형규 목사님과 관련해서 여론이 너무 이상하게 쏠리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부터는 봉사를 하더라도 눈치를 보고 하라는 건지 모르겠네요. 영업활동이 아니라 봉사활동이라면 가장 소외되고 가장 위험한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보호받아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그런 원칙이 배목사님의 죽음과 동시에 훼손된 것 같아 마음이 씁쓸합니다. 예수님이 이 상황을 보시면 개탄하실 일입니다. "박애가 아니라, 헌신이 아니라면 '사랑'이라는 말을 입에도 담지 마라."라고 하셨겠죠..

멜기세덱 2007-07-31 11:34   좋아요 0 | URL
또 한 분이 희생됐다는 소식을 아침에 들으면서, 할 말을 잃게 됩니다. 부디! 더 이상의 희생이 없기를...우리 지금부터라도 간절히 바라야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