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미스터리 하우스호에 실린 글로 저자는 '최상규님'입니다.
http://www.mysteryhouse.co.kr/board/board_detail.asp?forum_id=131&search_type=&search_string=&msg_num=10609&pageno=2
하이퍼링크가 안되시면 불편하시더라도 복사하신후 인터넷 주소창에 붙인후 엔터치시면
본문으로 들어갑니다.ㅠ.ㅠ
혹 글이 안보이시면 아래를 클릭
>> 접힌 부분 펼치기 >>
법의혈청학(法醫血淸學)
최상규 (의학박사/과학수사연구소 생물학과장)
과학수사의 의미
과학수사란 과학적 지식과 과학기구 및 사실을 이용하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수사를 말한다.
과학적 지식에 활용되는 학문은 생물학, 화학, 물리학, 생화학, 독물학, 혈청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지식은 물론 범죄학, 사회학, 철학, 논리학, 법의학 등 사회과학적 지식의 원리를 총동원하는 수사를 의미한다.
최근 유럽 등지에서는 과학수사를 뒷받침하는 이들 모든 분야의 학문을 총칭하여 법과학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 학문은 상호 밀접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 이들 자연과학 분야중 혈청학의 실험원리를 기초로 하는 각종 증거물의 분석 및 해석으로 범죄수사의 과학화를 도모하는 법의 혈청학 분야에 관해 알아본다.
법의 혈청학의 의미
법의 혈청학이란 법의학의 검사대상 중 인체에서 유래되는 각종 증거물을 혈청학적인 실험방법에 의해 감정 및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면 법의학 및 혈청학의 기본의미를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법의학의 의미는 의학 및 자연과학을 기초로 하여 법률적으로 문제되는 사항을 연구하고 또는 이를 감정하는 학문이다. 반면 혈청학이란 항원(抗原)과 항체의 특이적인 반응을 기본원리로 하는 학문이다. 다시 말해서 항원의 의미는 어느 이종(異種)물질이 사람 또는 동물 체내에 들어갔을 때, 그 체내에서 특이 할체를 생성시킬 수 있는 성질이 있으며, 또 체외(시험관)에서는 그 생성된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성질의 물질을 말한다.
바로 이 항원과 항체의 반응원리는 혈액은 물론 각종 인체조직과 인체 분비액 중에 존재하는 혈액형 물질의 검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혈액형의 판정결과는 범죄 수사를 위한 범인의 색출 및 개인 식별에 활용되고 있어 법의 혈청학 분야가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법의 혈청학의 중요성
법의 혈청학적 증거물의 대부분은 혈청학적으로 특이성이 높은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검사법은 혈청학의 실험방법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감정 결과는 범죄 수사와 범인 색출에 단서를 제공하며, 재판시에 피의자의 범죄를 입증하며, 판결상의 근거를 마련해줌으로써 과학수사 내지는 인권 옹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분야로서 법의 혈청학의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대상이 되는 증거물
법의 혈청학의 증거물의 대상은 인체에서 유래된 각종 물체의 검사, 즉
1) 혈액, 타액, 정액, 모발, 땀, 소변, 기타 인체 배설물
2) 골편(骨片), 치아, 인체의 장기편(臟器片)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독극물, 약품, 페인트, 유리조각 등과 같은 이화학적 검사대상이 되는 증거물 등이 있다.
이에 반해 검사의 대상이 물체가 아닌 인체의 경우에는 이를 다시 생체(生體)와 사체(死體)의 검사로 나누며, 이 분야를 소위 법의학에서 말하는 법의부검 또는 법의병리학을 의미하고 있다. 그밖에도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건들이 범죄 구성 여부에 따라 물체 검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물체 검사의 대상은 범죄로부터 기인되는 물적 증거, 즉 증거재료(증거물)인 것이다.
|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