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일지매하면 대부분 고우영 화백의 일지매만 생각나실 겁니다.아마도 70년대 신문연재만화로 공전의 히트를 쳤기 때문에 일지매하면 고유영 화백이 창조한 것으로 알기 쉽습니다. 


사실 소설로 일지매란 작품을 읽으신 분들은 의외로 적으실 것 같습니다.같은 조선의 의적을 다룬 홍길동이나 임꺽정 장길산등은 대하소설로 많이 접하셨겠지만 일지매란 소설을 본 분들은 적으실거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일지매는 꽤 오래전에 소설로 간행되었습니다.

1.허문영 의적 일지매(1964)

통속 소설가로 60~70년대 가장 많은 소설을 발표한 작가이지만 많은 작품이 야설에 가까워 우리 문학계에서 외면하는 허문영이 64년에 의적 일지매란 소설을 발표합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2.정비석의 의적 일지매(1974)

소설가 정비석이 1974년 아동및 청소년용으로 아리랑사에서 의적 일지매란 작품을 발표합니다.정비석의 역사인물소설 ‘의적 일지매’는 정의로운 한 소년이 약한 자를 돕는 의적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어린이용 소설입니다.


의적 일지매 (한국소년소녀명작선집)


3.최정주 소설 일지매 3권(1993)

최정주 장편소설『일지매』. 〈홍길동전〉을 쓴 허균을 등장시켜 그가 추구했던 개혁의 이야기의 근간으로 한 역사소설실로 실제 역사에서 있었던 일들과 픽션을 엮어, 역사적 사실과 소설적 재미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풀어내고 있습니다.최정주의 일지매는 1993년 방영된 장동건 주연의 드라마 일지매의 원작소설입니다.


4.기타 작품들

일지매는 드라마 인기 탓인지 2천년 초반부터 여러 작가들의 소설이 나오는 것 같은데 절판된 책이 많으며 대체로 어린이 용으로 쓰여진 책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