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1 | 2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
윤성근 지음 / MY(흐름출판)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

 

 

 

 

 

『책에서 마주친 한 줄』

 

"첫 문장은 신이 내린 선물이다"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


어떤 소설을 읽을 것인지 선택하는 건 상당히 중요한 문제다.
첫 문장은 그런 의미에서 소설가에게 가장 신경 쓰이는 부분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첫 부분을 조금 읽다가 재미가 없을 것 같으면 덮고 다른 책을 집어들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그런 식으로 탈락된 소설가의 다른 책은 첫 페이지도 펴보기 전에 '당연히 재미가 없겠지. 전에 봤던 것도 그랬잖아'라는 편견 속에 잊히기도 한다.

이런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면 드디어 세상에 저항해야 할 준비가 된 것이다.

그는 걸프 해류에서 조각배를 타고서 혼자 낚시하는 노인이었고, 고기를 단 한 마리도 잡지 못한 날이 이제 84일이었다.

상당한 재산을 가진 독신 남성에게 틀림없이 아내가 필요할 것이라는 사실은 널리 인정된 진리다. _Jane Austen

『하나, 책과 마주하다』

책 속 첫 문장을 가지고 하나의 책이 탄생했다.

저자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을 운영하는데 읽은 책과 알고 있는 책만을 판매한다고 한다.

그렇게 책을 사랑하는 저자가 소설 속 '첫 문장'이 어떻게 쓰여졌을까를 상상하면서 탄생하게 된 책이라 할 수 있다.

저자가 선정한 최고의 첫 문장은 이상의 『날개』였다.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 -문학 역사상 가장 멋진 첫 문장이라고 저자는 자부하고 있다.
말을 곱씹어보게된다. 박제가 된 천재? 천재가 박제처럼 되었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일까하는 의문을 제기하게끔 만든다.
곧바로 이어지는 문장이 "나는 유쾌하오. 이런 때 연애까지가 유쾌하오."라는 문장을 읽게되면 이건 또 무슨말인지하고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만든다.
그럼 아, 박제같은 천재가 연애를 하나보다라고 짐짓 짐작할 수는 있다.
이상의 『날개』는 중학교 때 읽어봐서 줄거리랑 결말이 흐릿해졌지만 이 구절은 어렴풋 선명하게 기억이 난다. 다시금 책을 펼쳐봐야겠다.


단순하고 간결한 문체, 책을 읽는 내내 같이 호흡할 수 있게 만드는 헤밍웨이의 작품 중 『노인과 바다』를 참 좋아한다.
"그는 걸프 해류에서 조각배를 타고서 혼자 낚시하는 노인이었고, 고기를 단 한 마리도 잡지 못한 날이 이제 84일이었다."
작품 속에서의 노인은 헤밍웨이 자신을 칭하는 것일까? 난 그렇다고본다.
노인이 자기 배 안에서 고기를 잡기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는 것, 그것은 흡사 헤밍웨이의 상황과 비슷하다고 본다.
참 희한한 건 조그마한 멸치 정도는 잡을 수 있었는데 왜 잡지를 못하고 있었을까?


잡지 못한 건 아니였던 것 같다. 아마 노인이 생각하고 있는 상대는 엄청 크고 사나운 물고기였을 것이다.
결국 노인은 남들이 입을 쩍 벌릴만한 물고기를 잡았고, 결국 승리했다. 결국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매우 희망적이었다.
"저놈이 곧장 물 아래로 처박히면 어쩌지? 그건 나도 모르겠군. 이놈이 물 속으로 잠수해 죽어 버린다면? 그것도 모르겠군. 하지만 난 뭔가 할 거야.

내가 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이 있어."

아이러니한 것은 노인이 고기를 잡는 것이 목적이 아니였던 것 같다. 성취감은 이내 사라지고 노인에게는 곧 상실감이 닥쳐온다.
"너무 좋은 일은 오래가지 못하는 구나. 하고 노인은 생각했다. 차라리 이게 꿈이었더라면, 저 고기를 낚지 않고 차라리 신문지를 깐 침대 위에

그냥 누워 있었더라면."

그러나 그 상실감을 이겨내기 위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야 하는 것이 인간의 숙명인 것 같다.

"하지만 인간은 패배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야. 인간은 파괴될 수는 있지만 패배하지는 않는 거야."
그렇다. 희망과 용기를 잃지않고 투쟁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목적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이자 영화인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소설 속 인물묘사가 정말 감질맛나게 표현되어있다.

오스틴은 베넷 부인을 이렇게 묘사하였다.
"그녀는 이해력이 부족하고 무식하며 시도 때도 없이 기분이 바뀌는 여자였고, 자기 성에 차지 않으면 신경증이 도진 것이라 생각했다. 평생 과업은 딸들을 결혼시키는 것이었고, 사는 낙은 이웃집을 방문해 수다를 떠는 것이었다."

엘리자베스는 고집스러우면서도 합리적인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이렇게 표현하였다.
"바위와 산에 비하면 남자들이 대수인가요? - 감탄보다는 근거가 더 확실해야 하니까요."

오만과 편견, 이 두 단어는 참 복잡하고 오묘한 관계에 위치해 있는 것 같다.

"당신의 태도를 보고 당신이 오만하고 잘난 체하여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무시하는 이기적인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어요.
그게 당신을 못마땅하게 여기게 된 근거가 되었고, 이후에 이어진 여러 사건들이 쌓여서 너무나 확고부동한 혐오감이 만들어졌죠." ……
"허영과 오만은 다른 것이지만 두 말은 종종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곤 해. 사람은 허영심이 없어도 오만할 수 있지.
오만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더 연관이 있고 허영은 다른 사람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해 주었으면 하는 것과 더 연관이 있어."

처음은 언제나 설레고 두근두근거린다.

책을 접하고나서 오랜시간이 흐른 후, 줄거리와 결말이 기억나질 않아도 책 속 구절이 오랫동안 기억 속 뇌리에 박힐 때가 있다.

나에게 책은 첫만남, 첫사랑과 같은 느낌이라 책은 언제나 나에게 항상 새로운 존재이다.

"첫 문장은 신이 내린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교과서 무함마드 - 생각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라 플라톤아카데미 인생교과서 시리즈 4
최영길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인생교과서 무함마드 : 생각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라

 

 

 

 

『책에서 마주친 한 줄』

 

하나님이 인간을 만든 이유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고 하나님이 창조한 지구를 인간으로 하여금 관리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내가 태어나는 것도, 부모가 자식을 낳는 것도 모두 하나님을 기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무함마드는 말한다.

 

죽음이란 신이 창조한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기 위한 재창조다.

 

무함마드는 오히려 신에게 감사를 드리라고 말한다. …… 아픈 것을 괴로워하고 늙어가는 것을 한탄하며 무작정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보다 생로병사의 본뜻을 깊이 이해할 때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행복은 현재의 자신에게 만족할 때 온다. 자신의 외모에 만족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에 만족하고, 자신이 현재 가진 것에 만족하고, 자기가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만족할 때 오는 것이 행복이다. 만족하면 그것이 바로 행복이고 만족하지 못하면 그것은 곧 불행이다.

 

행복이 어디에 있느냐는 질문에 무함마드는 모든 것은 마음에서부터 비롯된다고 대답한다.

행복이 만들어지는 곳도 마음이요. 만들어진 행복이 머무는 곳도 마음이다.

그래서 행복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니 눈으로는 볼 수 없다.

마음에 있으니 마음의 감각으로 발견하는 게 행복이다.

 

행복은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했다. …… 천만금을 가진 자가 일 없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고, 가난하지만 일이 있어 행복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또한 행복은 감사하는 것이다. …… 행복은 자신의 마음에 있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들여다볼 수 없고, 어느 누구도 빼앗아갈 수 없다. 그래서 마음이 만들어가는 행복은 오직 나만이 가질 수 있는 자신만의 재산이다.

 

진정한 천국과 지옥은 어디에 있을까? 하나님과 내가 완벽하게 하나가 될 때 그곳은 천국이 되고 하나님과 내가 따로 있을 때 그곳은 지옥이 된다.

'나'라는 자아를 100퍼센트 소멸시켜 신일합일을 이루면 완전한 천국이고 지옥은 존재하지 않는다.

나를 50퍼센트만 소멸시킨다면 절반은 천국이고 절반은 지옥이다. 자아를 전혀 소멸시키지 않는다면 그곳은 완전한 지옥이 된다.

 

인간은 왜 일을 하며 살아야 할까? 무함마드는 인간의 노동을 긍정적으로 보았을 뿐만 아니라 인간이 행복해지는데 필요한 조건이라고 보았다.

무함마드는 현세의 행복과 내세의 행복을 모두 얻는 자가 훌륭한 인간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노동으로 벌어들인 수입이 가장 깨끗한 재산이며 그 수입으로 살아가는 자가 내세에서 가장 큰 행복을 얻는 사람이다.

 

무함마드는 "너희에게 베풀어준 것으로 내세의 안식처를 구하라"라고 말한다. 현세와 내세의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노동을 통한 기쁨을 맛보는 것이야말로 인간에게 주어진 근본적인 행복일 것이다.

 

숙명과 운명을 기꺼이 받아들이지 않고 실망과 절망에 빠진 자는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하면서 지옥을 택한다.
그러나 숙명과 운명을 기꺼이 받아들이며 기도하고 간구하면 귀가 되어, 눈이 되어, 손이 되어, 발이 되어준다고 알라는 말한다.

 

무함마드가 이렇게 육체와 마음의 청결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마음과 발, 그리고 손은 모두 인간의 업적을 창출하는 도구기 때문이다. 마음은 뜻을 세우고, 발은 그 뜻에 따라 움직이고, 손은 그 결과를 수확한다.

물로 육신을 씻고 예배와 금식으로 마음과 영혼을 씻을 때 비로소 육신과 영혼은 죄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이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무함마드라고 하면 딱 알라신이 떠오른다. 그외에는 아는 게 전혀 없다.

무함마드라는 이름은 그의 할아버지가 직접 손주의 이름을 지어줬다고 한다. 그의 어머니가 임신 중에 지은 아흐마드는 그의 또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알라신외에는 딱히 떠오르는 것도, 잘 알지 못한 인물이였는데 이번 기회에 그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인생교과서_무함마드』를 읽기 전, 바로 『인생교과서_예수』를 읽었었는데 비교하며 읽으니 훨씬 더 흥미로웠다.

아담과 하와하면 선악과, 뱀, 죄악이 떠오를 것이다.

성경에서는 뱀이 하와를 유혹하였고 그 유혹에 넘어간 하와가 아담까지 꾀어 같이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둘은 죄를 짓고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했는데

무함마드는 이에 대해 추방된 것이 아니라고 반론을 제기한다.

아담이 창조되었을 때, 구속받지 않았고 선악과를 맛보기 전까지는 아담과 하와는 죄없이 깨끗하기 때문에 쫓겨날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즉, 죄의 속성을 지니고 창조된 것이 아니라 선한 성질을 가지고 창조되었다고 주장한다.

맹자의 성선설이 번뜩 떠오른다.

어쨌든 모든 인간이 원죄를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쓰이지 않은 하얀 공책처럼 원선의 상태로 탄생한다는 것이 무함마드의 변론이다.

 

전에 책에서 봤던 인샬라에 대해 이번에 알게되었다. 무슬림들이 말하는 '인샬라'는 '알라의 뜻이라면, 알라께서 원하신다면'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무함마드가 질문을 받았는데 그에 대한 대답을 내놓지 못하고 내일로 미루자 사람들이 조롱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때, 알라가 가브리엘을 통해 알지 못할 때는 내일이라 말하지 말고 인샬라라고 대답하라며 일러주었다고 한다.

말이라는 게 워낙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말을 내뱉음에 있어서 항상 주의해야 한다.

마음에서 생각이 나오고 그 생각에 따라 좋은 말과 바른말, 나쁜 말과 그릇된 말이 나오는데 그 습관들이 모여 여러 가지 성격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인간의 인생을 좌우하게 된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가 말을 함에 있어서는 항상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이다.

 

무함마드에게 죽음이란 관점은 재창조이다. 신이 창조한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기 위한 것으로 말이다.

오히려 신에게 감사를 드리라고 말한다. 무서워하고 늙어가는 것을 한탄하는 것보다, 생로병사의 본뜻을 깊이 이해하며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그럼 무함마드에게 행복이란 관점은 어떨까? 그의 행복의 관점은 현재 자신에 대한 만족에서 온다고 한다.

즉, 행복의 모든 것은 마음에서부터 비롯된다고 대답한다.

행복이 만들어지는 곳도 마음이요. 만들어진 행복이 머무는 곳도 마음이다.

그래서 행복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니 눈으로는 볼 수 없다.

마음에 있으니 마음의 감각으로 발견하는 게 행복이다.

또한,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며 감사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마음이 만들어가는 행복은 오직 나만이 가질 수 있는 자신만의 재산이다.

 

팽글팽글 놀기보다는 인간의 노동은 행복의 조건이라 강조한다.

그래서 무함마드는 현세의 행복과 내세의 행복을 모두 얻는 자가 훌륭한 인간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노동으로 벌어들인 수입이 가장 깨끗한 재산이며 그 수입으로 살아가는 자가 내세에서 가장 큰 행복을 얻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무함마드는 "너희에게 베풀어준 것으로 내세의 안식처를 구하라"라고 말한다. 현세와 내세의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노동을 통한 기쁨을 맛보는 것이야말로 인간에게 주어진 근본적인 행복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교과서 예수 - 사랑, 먼저 행하고 먼저 베풀어라 플라톤아카데미 인생교과서 시리즈 1
차정식.김기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 인생교과서_예수 : 사랑, 먼저 행하고 먼저 베풀어라

 

 

 

 

『책에서 마주친 한 줄』

어디를 향해 달려가는가? 산다는 것은 사랑하는 것이다. 제대로 산다는 것은 제대로 죽는다는 것이고, 그 죽음을 통해 영원한 생을 내다보는 것이다.


사람들은 '행복을 위해서'라고 외치며 질주를 계속한다. 삶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주변 세계와 친밀하게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은 줄어든다.
외로움은 깊어가고, 숨은 가빠지고, 행복은 분주함의 파도에 떠밀려 해안으로부터 조금씩 멀어져간다.
예수는 저마다 불행하다는 사람들 앞에 남들과 경쟁하지 않으면서도 행복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
땅 위의 현실에만 붙들리면 자기가 본래 누구인지, 왜 이 세상에 왔는지를 묻지 않게 된다.
그는 불의한 현상 질서를 체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사람들을 북돋우면서도, 지금 여기서 누릴 수 있는 행복에 눈을 뜨라고 말한다.


'하나님의 나라' 또는 '천국'이 예수의 신학적 이념형을 포괄적으로 대표한다면 그것이 실제로 이 땅의 구체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은

'구원'이란 말로 표현된다. 구원이란 말은 복음서에서 동사와 명사 표현을 합해 모두 쉰한 번 등장한다.
특히 동사로 사용될 때는 수동태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구원이 자기 스스로 노력하여 획득하거나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초자연적인

권능에 의해 주어지는 은혜의 선물임을 암시한다.

희랍어 단어가 내포하는 의미망 속에 '구원'이란 개념과 '치유'라는 개념이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전혀 이상한 표현이 아니다.
요컨대 구원은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우리의 온전한 생명 체계가 망가진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회복해 다시 건강한 삶을 살게 되는 과정을 뜻하는

다른 명칭이다. 이는 예수에게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탈출하는 현실적인 삶의 반전과 구원의 의미가 밀접하게 연관됐음을 시사한다.


대중사회 속에서 '복'이나 '축복'이라는 말의 함의는 이중적이다.
순탄한 생의 여정을 보장한다는 의미의 무병장수, 자손의 성공과 출세, 사업의 번창과 풍부한 재물 소우, 번듯한 명예나 권세 획득, 가정의 평안 등의

희원은 겉으로 요란하게 드러내지 않더라도 누구나 본능적으로 바라는 욕망이다.


꼭 세속적인 행복과 하나님이 주시는 행복이 대립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삶의 지향점을 어떻게 잡고 사느냐는 매우 중요하다.


요컨대 예수가 본 진정한 복의 기준은 자신의 기원과 본체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동물적인 소유 지향적 삶을 지양하고 '의'와 '자비'와 '평화' 등의

신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공변된 선교적 삶을 실천하는 데서 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예수가 견지한 복의 중추적 요소는 수직적·수평적 관계의 견실한 토대 위에서 소명으로 자각한 삶의 충실성을
발휘하면서 초지일관 용기 내어 앎을 행동으로 옮기는 삶이다.


이런 맥락에서 예수가 이해한 기도의 자세와 방식과 내용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열린 소통으로써 근본적인 관계의 충실성을 도모하는

'영혼의 호흡'이었던 것이다.

결국 신적 은총이 특정 대상의 구원으로 실현되는 것은 당사자의 '믿음'이 필히 수반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수에게 있어서 삶이란 무엇인가? 생명을 풍성하게 하고 온전하게 하는 일이었다.
…… 그에게 낯선 타자는 없다. 모두가 한 호흡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이들의 생명을 풍성하게 하기 위해 자기 생명을 바쳤다.
그것이 십자가이다. 십자가는 그래서 생명이고 사랑이다.

학창 시절에 영어 단어를 외울 때 '죄'를 의미하는 두 단어 'crime'과 'sin'을 구별하면서 전자가 실정법에 위반되는 사회적인 범죄 일체를
의미하는 반면, 후자는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죄를 의미한다고 배웠던 것이 기억난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관점이 유지되는지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적인 죄를 일컬을 때 대체로 'sin'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예수가 이해한 '죄'에도 유효할까. 그는 죄를 어떻게 보았고 어떻게 그것을 용서하는 게 가능하다고 생각했을까.


죄의 용서에 관하여 예수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①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데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데가 있느니라.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 하시니라. (막 2:17)
②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만일 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경고하고, 회개하거든 용서하라.
만일 하루에 일곱 번이라도 네게 죄를 짓고 일곱 번 네게 돌아와 내가 회개하노라 하거든 너는 용서하라 하시더라. (눅 17:3-4)


진정한 용서와 화해는 진실과의 정직한 대면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용서는 피해자가 피해자 의식을 버리고 세상을 살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갈릴리의 작은 마을, 나사렛에서 태어난 예수는 그곳에서 삶의 대부분을 보내게 된다.

자신이 선택하지 않았다. 오로지 택함을 받은 백성들을 위해 그곳에서 살았다.

남을 위해 사셨던 예수에게서 우리는 어떤 것을 배울 수 있을까?​

예수께서는 산다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였을까? 대개 사람들은 '산다는 것은 무엇이냐?'라는 물음에 바로 답하지는 못할 것이다.

나같아도 막상 그런 질문을 받으면 말문이 막힐 것만 같다.

예수는 산다는 것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산다는 것은 사랑하는 것이다. 제대로 산다는 것은 제대로 죽는다는 것이고, 그 죽음을 통해 영원한 생을 내다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예수에게 있어서 삶이란 무엇인가? 생명을 풍성하게 하고 온전하게 하는 일이었다.
…… 그에게 낯선 타자는 없다. 모두가 한 호흡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이들의 생명을 풍성하게 하기 위해 자기 생명을 바쳤다.
그것이 십자가이다. 십자가는 그래서 생명이고 사랑이다.​

예수는 산다는 것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남을 위해 일평생 사셨던 예수는 그렇게 자기 백성들을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하셨다.

사람들은 행복을 위해, 행복을 이루기 위해 살고있다.

행복을 위해 만들었던 그 모든 것이 지금은 인간 개개인을 너무 피폐하게 만든다.

행복을 위해 만들었던 그 모든 것이 발전 속도가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너무 빨라서 자연스레 우리의 삶 또한 빨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로인해 편안함은 극대화되었지만 한편으로는 개개인에 대해 문제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만남이 줄어드니 개개인이 느끼는 외로움과 공허함이 매우 커지고, 무엇보다 숨쉬기 힘들 정도로 빡빡한 삶이 이어지고 있다.

행복을 위해 우리가 흔히 바라는 축복은 성공, 출세, 권력 획득 등 욕망과 관련되었다.

대부분 물욕과 관련된 이 욕망은 바란다는 것 자체가 우리가 변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렇게 세속적이고 물질적인 행복과 하나님이 주신 행복이 대립적이지는 않다고 한다.

단, 우리가 어떻게 삶의 지향점을 잡는지에 달려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변치않는 마음으로 앎을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간절히 원하는 바를 위해 기도를 한다.

그럼 기도는 정말 들어주시는 것일까? 그렇다면 진정성있는 기도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지금 내가 두손모아 단순히 비는 것 또한 기도일까?

일단, 기도는 내가 하나님에 대한 강한 믿음이 필히 수반되어야 한다.

왜냐면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라 지칭할만큼 인간과 하나님의 관계에서의 유일하고 중요한 소통이기 때문이다.

그럼 예수는 우리에게 가장 강조한 것은 무엇일까? 열심히 기도하라는 것? 그렇지않다.

예수는 다른 그 무엇보다 용서와 화해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진정한 용서와 화해는 진실과의 정직한 대면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용서는 피해자가 피해자 의식을 버리고 세상을 살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다.

​용서와 화해, 사랑을 먼저 베풀라는 예수의 말은 태초부터 누구나 꼭 배우고 느껴야 할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맨틱 한시 - 사랑의 예외적 순간을 붙잡다
이우성 지음, 원주용 옮김, 미우 그림 / arte(아르테)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 로맨틱 한시: 사랑의 예외적 순간을 붙잡다

 

 

 

 

『책에서 마주친 한 줄』

(풀어서 쓴 뜻으로 썼습니다. 한자만 덩그러니 쓰면 못 알아보실 분도 계실지도 모르기에)​

춘사 - 박제가

그네로 하늘 가르며 한 번 공중에 솟구치니

바람 머금은 양 소매가 당긴 활등 같구나

높이높이 오르려다 치마 자락이 터져서

수놓은 꽃신 끝이 붉게 드러난 줄도 몰랐네

호랑내멱농 - 이안중

​작은 것이 꽃밭 속에 서 있으니

버들잎은 새색시의 눈썹 같고

복사꽃은 붉은 치마를 닮았어요.

나를 찾아보라 그대를 불렀죠

복사꽃은 동쪽에 오얏꽃은 서쪽에 있는데

그대를 어디에서 진짜 나를 찾을까요.

백저사 - 최경창

장안에 계실 때를 생각하며

흰 모시 치마 새로 지었죠.

이별한 후인데 어찌 입을 수 있겠어요

노래하고 춤 춰도 보아줄 그대가 없는데.

추사 - 남취선

동천은 물과 같고 달도 푸르른데

나뭇잎 떨어지고 밤엔 서리 내리네

열두 발 친 방에 혼자 자려니

옥 병풍에 수놓은 원앙 부럽기만 하네​

 

『하나, 책과 마주하다』

​『로맨틱한시』는 말그대로 로맨틱한 한시를 담아내고 있다. 그렇다. 사랑이 주제이다.

책 첫장을 넘기려는 순간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보통은 오른쪽을 기준으로 책을 넘기는데 옛날방식을 고수하기 위해서 그랬는지 왼쪽을 기준으로 책을 넘기게 되어있다.

예전에 딱 한번 오래된 고전문학을 읽을 때 그랬었는데 오랜만에 왼쪽을 기준으로 넘기니 감회가 새롭다​

 

반속요(현실로 돌아오는 노래) - 설요
化雲心兮思貞淑 (화운심혜화정숙) 구름 같은 이 내 마음 정숙을 생각해보려 하지만
洞寂滅兮不見人 (동적멸혜불견인) 산골짜기 적막하여 사람 보이지 않네

瑤草芳兮思芬蒕 (요초방혜사분온) 아름다운 꽃은 피어날 생각을 하는데,
將奈何兮是靑春 (장내하혜청춘)     장차 어찌하리, 이 내 청춘은.​

반속요는 출가했다 다시 속세로 돌아오라는 뜻을 담고있다. 반속요를 지은 설요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삶에 환멸을 느껴 출가한 인물이다.
그러나 계속된 얽매임 속에서 결국 수도의 길을 포기하게 되는데 이 때 반속요를 짓고 환속했다고 한다.
훗날 당나라의 곽진의 첩으로 살다가 죽었다고 알려졌다.

삶이란 단순하지 않기에, 복잡하기에 더 어려운 것 같다. 한 번 꼬인 실타래를 금방 풀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쉽지 않은 게 인생의 순리이니 말이다.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 내어 (동짓달의 기나긴 밤의 한 가운데를 둘로 나누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따뜻한 이불 아래에 서리서리 간직해 두었다가)
얼운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정든 임이 오시는 날 밤이면 굽이굽이 펴서 더디게 밤을 새리라)

 

임이 오시지 않는 길고 긴 동짓달의 밤을 지새운 여인의 감정을 고스란히 표현해내었다.

개인적으로 이 시조는 너무 좋아 글쓰기노트에도 써놓았었는데, 정말 조선시대 여류시인답게 황진이의 시조는 하나같이 다 좋은 것 같다

여운이 진하게, 아주 길게 남는다.

 

美人怨(미인원) - 이규보

​腸斷啼鶯春 (단장제앵춘) 단장제 꾀꼬리 우는 봄날 애간장 타는데
落花紅簇地 (낙화홍족지) 꽃은 떨어져 온 땅을 붉게 덮었구나
香衾曉枕孤 (향금효침고) 이불 속 새벽잠은 외롭기만 하여
玉臉雙流淚 (옥검쌍유루) 고운 뺨엔 두 줄기 눈물 흐르누나
郞信薄如雲 (낭신박여운) 님의 약속 믿음 없기 뜬구름 같고
妾情撓似水 (첩정요사수) 이내 마음 일렁이는 강물 같누나
長日度與誰 (장일도여수) 긴긴 밤을 그 누구와 함께 지내며
皺却愁眉翠 (추각수미취) 수심에 찡그린 눈썹을 펼 수 있을까

대표적인 회문시인 '그대 마음 믿을 수 없어요'는 처음부터 읽어도, 뒤에서부터 읽어도 뜻이 통한다.

​翠眉愁却皺 (취미수각추) 푸른 눈썹은 수심 겨워 찌푸려 있는데
誰與度日長 (수여도일장) 뉘와 함께 긴긴 밤을 지내어 볼까
水似撓情妾 (수사요정첩) 강물은 내 마음인 양 출렁거리고
雲如薄信郎 (운여박신랑) 구름은 신의 없는 님의 마음 같아라
淚流雙臉玉 (누류쌍검옥) 두 뺨에 옥 같은 눈물 흐르고
孤枕曉衾香 (고침효금향) 외론 베개 새벽 이불만 향기롭구나
地簇紅花落 (지족홍화락) 땅 가득히 붉은 꽃이 떨어지고
春鶯啼斷腸 (춘앵제단장) 봄 꾀꼬리 우는 소리에 애간장 타누나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감정을 부각시키며 여인의 처지를 자연과 대조시키고 있다.
미인원을 그대로 풀이해보면 아름다운 여인의 원망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이 한시는 말그대로 객지로 떠돌아다니는 임이 돌아오지 않아 원망과 함께 기다림을 나타내는 여인의 감정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문학시간에 배웠던 한시·시조 등 고전문학이 너무 좋아 방과후 특강을 따로 듣기도했다. 그 정도로 나는 고전문학에 매료되어 있었다.

짤막한 한 구절에 담긴 무궁무진한 의미들을 찾아내며, 어떻게 이런 표현으로 많은 감정을 담아낼 수 있는건지 감탄하기도 하였다.

오랜만에 한시들을 입 속으로 되뇌어보니 한시에 매료되었던 감정들을 끄집어낼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예전에 재밌다고 혼자서 지어낸 한시들이 담긴 공책이 있는데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다

나중에 찾아내면 꼭 하나표 한시를 소개하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더 혁명
이와타 마츠오 지음 / 페이퍼북(Paperbook)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 리더혁명

 

 

 

『책에서 마주친 한 줄』


그렇기에 강조하고 싶은 것은 리더십이란 태어날 때부터 갖춘 것이 결코 아니란 점, 누구나 리더가 될 소질을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할 마인드는 '노력은 반드시 보상 받는다'라는 생각과 자신을 믿는 강한 마음입니다.

 

남을 다스리기에 앞서 스스로를 다스릴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스스로를 다스릴 줄 모르는 사람이 남을 다스릴 수 있을 리 없습니다.

 

아무리 허세를 부려도 혼자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보다는 모두에게 도와달라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에서 나온, 진솔한 커뮤니케이션이 회사를 크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부하의 일하는 과정을 봐줄 것, 그것만으로도 일에 대한 의욕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리더는 작은 일에 더욱 눈을 번뜩이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리고 문제가 있다는 걸 알았으면 스스로 움직여야 합니다.

 

우선 해보았으면 하는 것은 자신이 왜 그렇게 바쁜지 이해하는 겁니다. 사실 많은 사람이 매일 무슨 일에 시간을 빼앗기고 있는지 확실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한 번 하루의 일을 전부 적어보는 겁니다.

 

가끔 자신의 마음을 흔들어 두는 것이 리더로서 남의 마음에 닿고 싶어질 때 분명 도움이 됩니다.

남의 아픔을 이해하는 감성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리더는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일까? 절대! 절대! 그렇지않다.

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으며, 가능성은 무궁무진하게 충분히 가지고있다. 소심한 사람도 물론 그렇다.

 

짐 콜린스의 '비저너리 컴퍼니2: 비약의 법칙'에서 뛰어난 기업의 비밀이 무엇인지를 검증한다고 한다.

여기서 카리스마 리더십이 등장하는데 이를 '제 4수준'이라고 표현한다.

그 위의 리더십을 '제 5수준'이라고 하는데 이는 카리스마유무와는 관계없이 겸허함을 지닌 리더십을 의미한다고 한다.

저자 또한 동양의 이상적인 리더십을 동경한다고 한다. 너그러우며 투지있는, 뛰어난 인격을 가진 사람말이다.

 

크게 목소리를 내며 부하들을 휘어잡는 카리스마를 지닌 리더, 그런 리더들을 실제로 부하들이 진정으로 존경할까?

반면에 목소리는 크게 내지않아도, 부하들의 눈높이에서 일할 때만큼은 조용하지만 카리스마를 내뿜은 리더를 진정으로 존경할까?

실제 부하들은 후자쪽을 진심으로 존경한다.

호통치며 이래라저래라 하지않아도, 분명 내공은 깊으며 인격높은 리더를 모두가 원한다.

 

인격갖춘 리더가 되고자한다면, 되길 원한다면 그렇게 바뀌도록 노력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리더의 조건들을 보면 하나같이 원래 알고있는 것마냥 수긍하지만 실제로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리더들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성공'이라는 것은 목표로 삼을 것이 아닙니다. 인간적인 성장이야말로 목표로 삼아야 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인간적 성장을 해내는 것 자체가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1 | 2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