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당신은 오늘도 행복을 좇아 열심히 사셨나요. 그래서 행복한 하루를 보내셨나요. 만약 그렇지 못했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면 좋겠다.

우리는 흔히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들 한다. 즉 우리의 목적이 행복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행복이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 말한다. 우리가 행복을 목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이데아적 사고, 철학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행복을 철학이 아닌 과학적 관점, 특히 진화론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행복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 된다.

바로 생존과 번식을 위한 수단이 행복이라는 것이다. 즉 생존과 번식을 위해 필요한 것들이 우리에게 행복감을 준다는 것이다. 이말을 듣고 금방 떠오르는 것은 식욕과 성욕과 같은 육체적 쾌락일 것이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점에 있다. 즉 생존과 번식에 있어 인간은 뭉쳐있을 때 그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사회적 관계가 행복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시 한번 떠올려보아야 할 것은 어떤 사회적 관계가 생존과 번식에 유리할 것인가이다. 저자가 말하는 행복한 장면의 가장 대표적인 모습은 사랑하는 사람과 맛있는 식사를 함께하는 것이다.

아참, 그리고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이런 행복감은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식욕과 성욕이 한 번으로 만족이 된다면 더이상 먹지 않아도 번식하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몸은 지속적 행복감이 아니라 망각의 행복감을 지녔다. 따라서 아주 큰 한 방의 행복보다는 사소하지만 잦은 행복감이 우리를 더 행복하게 만들어준다.

그러니 행복이라는 이데아에서 벗어나 주위에 내가 만나서 즐거운 사람들로 채우고 맛있는 식사를 함께 할 기회를 만드는 것이 더 나은 삶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혼술에 혼밥, 혼자놀기에 달인들이 늘어나는 현대인의 행복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으려나. 무욕과 종교적 삶을 택한 사람들은 어느 시대에나 존재해 왔다는 것은 무시해도 될 소수만의 일일까.

그래도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라는 책이 있다)지 않는데는 도움이 될만한 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