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차조의 다양한 모습.

 

 

오곡밥은 농사밥

정월 대보름이 다가옵니다. 대보름에는 일종의 잡곡밥인 오곡밥을 먹습니다. 오곡밥은 말 그대로 다섯 가지 곡식, 즉 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섞어 지은 밥을 말합니다(꼭 이 다섯 가지 곡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역에 따라 다른 곡물이 추가되거나 빠지기도 합니다). 풍농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어 ‘농사밥’이라고도 하죠. 이 오곡밥을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서 먹는 풍속이 있는데 이것은 한 해 동안 부지런하게 일하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

 

쌀처럼 먹던 조

이 오곡 중에 조는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좋고 생육기간도 짧아 대체작물이나 구황작물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2016년 쌀 재배면적이 78만㏊인데, 1945년 8·15 광복 전 조 재배면적이 70만㏊가 넘었다고 하니 우리나라의 주요 작물이었다고 할 수 있겠죠. 하지만 2009년 재배면적은 겨우 1,101㏊ 정도이며, 자급률은 30% 정도를 넘는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그나마 최근 건강기능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점차 그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차조와 메조

조는 그 조상이 강아지풀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그 모양새가 무척 닮았습니다. 조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서숙이라고 부르는 차조와 좁쌀이라고도 부르는 메조가 있습니다(찰기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함량 차에 의해 결정된다). 도정된 색에 따라 청차조(청량), 황차조(황량), 백차조(백량)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노랑차조는 황차조(황량)를 말하는데, 색깔과 모양이 찰기장과 비슷하여 구분이 잘 안될 정도죠. 하지만 알곡 크기가 차조가 더 작습니다.

 

오메기떡의 인기

제주에서는 차조를 ‘흐린조’라고 부릅니다. 이 차조를 이용하여 오메기떡, 오메기술, 고소리술을 빚습니다. 제주 올레길이 유명해지면서 오메기떡도 인기가 많아졌죠. 원래 오메기떡은 차조로만 만들고 팥고물이나 콩가루를 묻혀 먹던 것입니다. 최근 현대인의 입맛에 맞추어 쑥과 찹쌀을 넣고 고물로 땅콩, 아몬드, 호박씨 등이 등장하게 됐죠. 차조 가격이 찹쌀 가격보다 비싸진 것도 오메기떡 주요 원료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제주에서 쌀이 귀해 조를 이용한 음식들을 만들어 먹던 것을 생각해보면 격세지감이라 할 수 있겠네요.

 

비타민 풍부

조는 쉽게 벌레가 생길 수 있어 밀봉하여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게 좋습니다. 조도 중국산이 많이 들어오는데 국내산은 국내산은 낟알이 작고 납작한 편이지만 중국산은 낟알이 크고 둥근 편입니다. 수용성 비타민이 풍부해 피로 해소와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칼슘이 많아 아이들 성장이나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는 열을 내리고 대장을 이롭게 하며 산후 회복과 혈액생성(조혈)이 빠르고 당뇨와 빈혈예방에 좋다고 하네요. 특히 메조의 경우 위를 다스려주고 내장을 고르게 하여 오래된 속병을 다스리고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정월대보름, 풍년을 기원하며 맛있는 오곡밥 드셔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