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H 더 패스 : 세상을 바라보는 혁신적 생각 - 하버드의 미래 지성을 사로잡은 동양철학의 위대한 가르침
마이클 푸엣.크리스틴 그로스 로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양철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졌다. 그 덕분에 고리타분하다거나, 신비롭다거나, 자연과의 합일, 명상 등 현실과는 조금 동떨어진 느낌도 조금은 가셨다고나 할까. 그래도 여전히 묵자의 겸애, 공자의 인, 맹자의 선, 노자의 도, 장자의 무위 등등은 내가 살고 있는 삶의 현장과는 어울리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이 책 <더 패스>는 하버드대 교수 마이클 푸엣의 독창적 관점이 삶과의 관계를 밀착시키고 있다. 동양철학이 자기계발서로의 가치를 지니게 됐다고 거칠게 말할 수도 있겠다.

마이클은 동양철학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감정이라고 말한다. 이성이나 이데아같은 불변적 요소가 아니라 바로 수시로 변하는 감정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공자는 여러가지 감정 중 어떤 특정한 감정을 더 많이 느끼게 되면서 습관이 형성되고 이것이 삶을 이룬다고 보고, 이 습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평소와 다른 모습을 개발해 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평소와 다른 모습이 바로 의식, 禮가 되는 것이다. 또 인간은 타인에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기질을 갖고 있기에 그 반응을 정이 아닌 의로 대하기 위해 학습, 수양해야 할 것을 강조했다는 것이다.

맹자 또한 세상은 변화하는 곳이며 인간이 끊임없이 짜 맞춰가는 곳이라 보았다. 그래서 나도 항상 변화해야 하며, 내가 성장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자세,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선이며, 인을 실천하는 잠재력이다.

노자는 세상은 경계와 구분이 없으며 모두가 연관되어 있기에 새로운 연관성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본다. 어떤 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주변 여건과 인간관계, 단기, 장기적 변화를 통해 별개의 대상을 다른 방식, 새로운 방식으로 다시 연결시켜 해결해야 하는 벙법을 제시한다.

장자의 경우엔 세상의 모든 관점, 만물의 변화를 이해할 것을 말한다. 폭녋은 경험을 통해 관점을 이동하고, 이를 통해 심미안, 안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반복을 통한 훈련된 즉흥성으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의, 관점을 깨뜨리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순자는 作爲를 말하느데, 이는 자연스러움이 아닌 상태다. 즉흥적 본성과 감성을 통제하고 무엇을 하고 어떤 세계를 건설할 것인지에 대한 개선의 행동을 통해 세상을 다스린다.

이상의 중국철학자들의 공통된 점은 고정불변한 것은 없다는 것이다. 세상도 나도 당신도 말이다. 나는 이것을 이 한마디로 정의하고 싶다. 日新又日新

세상에는 분명한 지침이 있고 세상은 결코 변하지 않느다는 생각을 버리면, 남는 것은 우리를 인도하는 마음이다.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는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날마다 마음을 발전시킨다. 마음먹기에 따라 사물이나 상황을 올바로 감지하고,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것을 바탕으로 열심히 노력한다. 그러는 사이에 내가 생각한 모든 것이 바뀔 것이다. 내가 몰랐던 내 모습도 발견한다. 그리고 마침내 한때 고정불변이라고 생각했던 세계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세계로 보이기 시작한다.

명백한 문제를 직접 해결하기보다 별개의 사건과 감정을 다시 연결하려고 노력할 때, 비로소 주변 여건과 인간관계를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모무 바꿀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정치권력에서 부를 분리해, 교육받은 지식층이 주도하는 능력 위주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부와 정치권력을 가능한 한 많이 끌어들여 귀족 사회를 해체하는 전략을 썼다. 부를 획득해 사회 이동을 확고히 하고, 이를 이용해 곧장 정치권력으로 다가가는 방법이다. 서양에서 사회 이동의 동력은 교육이 아니라 부였고, 국가가 아니라 경제였다. 이는 귀족사회를 무너뜨리는 방법 중 하나지만,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세상에 진실은 없다고 생각한다면 삶은 어떤 모습일지 생각해보라.

서로를 아끼며 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끊임없는 관심과 적응, 반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이 하는 일 중 대단히 중요하고 보람 있는 일이다.

분열되고 파편화한 세상에서 질서를 만드는 일은 우리에게 달렸다. 세상ㅇ르 만들고 다스리는 사람은 바로 우리다. 이때 동원되는 방식은 거추장스러운 인간의 감정과 복잡한 것들, 즉 우리의 본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거추장스럽고 복잡한 것에서 시작한다. 이는 일상에서 자기 수양으로 가능하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의식을 실천한다든가, 몸의 기운을 다스려 좀 더 활기차게 살아간다든가, 마음을 단련해 과감하게 평소화는 다른 결단을 내린다든가, 새로운 경험을 꺼리는 성향을 거부하고 언제든 ㅅ개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취한다든가 하는 식이다.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과정은 끝이 없다. 좀 더 나은 관계를 만드려는 우리 노력에는 끝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계를 개선하는 법을 터득한다면 상황을 바꾸고, 나아가 새로운 세계를 무한히 창조해내는 법을 터득할 것이다. 그리고 좋은 삶으로 안내할 철학적 사고에 담긴 가능성에 열린 태도를 보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