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제목이 왜 '다니엘 블레이크'가 아니라 '나, 다니엘 블레이크'였을까. 제목에 대한 궁금증을 안고 영화를 보았다. 그리고 주인공 다니엘의 이 말 속에 그 궁금증이 풀렸다.

"사람이 자존심을 잃으면 다 잃은거요."

나란, 한 인간으로서의 나, 누구와도 똑같을 수 없는 나인 것이다.

 

영화는 이렇다. 성실한 목수 다니엘은 심장에 문제가 생겨 일을 할 수 없게된다. 우여곡절 끝에 질병수당을 신청하지만 거절당한다. 당장 입에 풀칠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실업급여를 신청하지만 이도 탈락. 이 과정에서 다니엘은 두 아이의 엄마이자 싱글맘인 케이티를 만나고 아낌없는 도움과 응원을 건넨다. 그리고 이웃에게도 다소 까칠하지만 친절을 베푸는 등 타인을 존중받아야 할 인격체로 대우한다.   

 

인간적 삶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하는 것이 복지제도라 할 것이다. 그 제도 속에서 개인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제도를 악용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무임승차자다. 즉 남의 둥지에 알을 낳는 뻐꾸기 같은 사람들이 불로소득의 수단으로 그 제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도는 이들을 견제할 방책을 만든다. 일종의 매뉴얼이 형성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 매뉴얼을 운영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제도의 대상자를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매뉴얼의 일부분으로 여기는 순간 관료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 관료화의 벽에 막히는 순간 인간은 자존심을 잃는다. 

그래서 다니엘은 항거한다. 그 항거의 끝은 영화를 통해서 보기를 바라며, 우리가 마주대하고 있는 것이 한 인간임을 잊지말았으면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다시 다니엘의 말을 인용해본다.   

"우리에게도 잠시 기대어 쉴 바람이 필요하지."

 

그 바람은 인간이다.

 

ps. 켄 로치의 영화를 보면 꼭 논쟁이나 언쟁 장면이 나온다. 특별할 것도 없는 촬영과 편집이지만 날 것의 이미지를 통해 꼭 그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느낌을 받는다. 한마디 거들고 싶은 것이다. 그 한마디 거들고 싶은 욕망. 켄 로치는 그 욕망을 끄집어내 영화를 이끌어가는 듯싶다.

 

우리에게도 잠시 기대어 쉴 바람이 필요하지

사람이 자존심을 잃으면 다 잃은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