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머컬처(permaculture)란 영속농업, 지속적 농업 혹은 영속문화라고 번역할 수 있다. 영어에서 ‘영구적인’을 의미하는 permanent와 농업을 의미하는 agriculture를 합해 만든 신조어다. 데이비드 홈그렌과 빌 몰리슨이 1970년대 중반에 현대사회의 환경위기, 특히 1차 오일쇼크에 대한 반응으로 퍼머컬처란 개념을 만들어냈다.

데이비드 홈그렌은 퍼머컬처를 ‘자연에서 발견되는 패턴과 관계를 모방해서 지역에서 필요한 음식, 섬유,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 경관’, 혹은 ‘위에서 말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체계론적 사고방식과 설계 원리’라고 정의한다. 현재 퍼머컬쳐는 생태농업의 한 갈래로 받아들여지며, 생태계를 모델로 농사 공간을 디자인함으로써 자연 에너지와 유기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농작물과 가축 등이 생장하게 하자는 농법이자 운동이라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퍼머컬처를 에너지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퍼머컬쳐를 지향하는 농부는 외부의 힘을 빌리지 않는다. 즉 땅을 갈고 거름을 주고 비료를 주고, 농약을 치는 일체의 행위가 없다. 다만 나무와 풀, 과수 등등이 스스로 씨를 뿌리고 자라는 자연마냥 커갈 수 있도록 디자인할 뿐이다. 다르게 표현한다면 기름으로 짓는 농사가 아니라 물로 짓는 농사이며, 인위가 아니라 자연을 따르는 농사인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작물이 아무렇게나 자라도록 놔두는 방치는 아니다. 물의 흐름, 바람의 방향, 빛의 세기 등등 자연이 주는 에너지를 어떻게 가두고 흘려보낼 것인지를 고민한다. 그리고 그에 맞추어 작물들을 배치한다. 이와 함께 땅 속 미생물에서부터 땅 위 벌레까지 상호관계를 파악해 병충해를 막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작물들의 이웃 관계를 설정한다. 몸으로 짓는 농사보다 머리로 짓는 농사가 더 많을지도 모른다.

현재의 농사는 고투입을 통한 대량생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퍼머컬처는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 (유기농법을 하는 농부들의 일부는 그 취지와는 다르게 고투입 다생산의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지금의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가에 대한 비판이 먼저 따르기 일쑤다. 이에 대한 해답은 영국의 퍼커컬처 지도자인 패트릭 화이트필드(Patrick Whitefield)의 대답을 통해 들어본다. “현재의 농법이 영원히 영국을 먹여 살릴 수 있느냐” “화석에너지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현재의 농법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뭔가 다른 방법을 시도해보는 수밖에 없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