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대를 위한 촛불이 되리라 - 무식한 영웅의 생활 속 음양 이야기
이상문 지음 / 정신세계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밥따로 물따로 음양식사법을 주장한 저자의 에세이 집이다. 못다한 이야기들을 써내려간 책이라 건강과 관련한 직접적인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에겐 그다지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책은 아니다. 이미 저자의 전작들을 읽고 그의 주장을 실천해본 사람들이 저자를 보다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밥따로 물따로에서 중병에 걸린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실천사항은 1일 2식에 밥과 물을 따로 먹는 것이다. 아침과 저녁에 국이나 찌개없이 밥을 먹고 낮에는 물 한모금 밥한술 뜨지 않으며, 물은 오직 저녁을 먹은 후 2시간 후에만 먹으라는 처방은 굉장히 간단하고 쉬워보이지만 또한 실천하기가 결코 만만치 않은 방법이다. (물론 중병이지도 않고, 사회생활을 해 나가야 하는 나로서는 점심을 굶는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 건강지키기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1일 3식에 밥과 물을 따로 먹는 방법 정도로 한번 실천해 보리라 마음은 먹어 보았다. 하지만 이것 또한 굉장히 어렵다.) 왜 밥과 물을 따로 먹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로 고체 음식은 양의 성격을 띠고 있어 낮에, 물은 음이라 저녁에 먹어야 한다는 설명이나, 기타 신체적 변화에 대한 이야기는 상식과는 조금 떨어져 있어 이해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게다가 영적인 이야기나, 외계 생명체에 대한 이야기는 다소 황당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건강에 대한 실천적 요소를 뛰어넘어 영적인 문제로 접근하다보면, 결국 종교적 색채를 띠고, 점차 사이비화 되어지지 않을까 우려되는 부분이 없지 않으나, 저자 또한 이것을 감지하고, 몸에 대한 것만을 이야기하려 한다는 점에서 안도의 숨을 내쉰다. 또한 세상은 상식으로만 이해되어지는 것도 아니고, 상식이라는 것도 세월에 따라 변해간다는 점을 상기해본다면, 몸소 실천해보고 그 변화를 체크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으리라 본다. 실천 방법이 경제적 부담이 되는 것도 아니고, 희귀한 행동을 요하는 것도 아니니, 몸의 변화를 느껴보고 싶다면 한번쯤 도전해볼만한 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도전은 밥 한끼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깨우쳐주기 때문이다. 철저한 감식(소식이 아니다)방법에 따라서 오랜 세월(7년) 동안 차근히 몸에 변화를 주는 방법으로서 최종적으로는 3일에 1끼 정도(물론 목표는 안 먹고도 살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로 거뜬히 생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실제로 일간신문에도 소개되어진 사람들의 실례로 이렇게 살아가는게 결코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에 놀라게 된다.
밥 한끼.
인류학 속에 등장하는 원주민들의 풍토 속에서도 잔치에서 먹는 것은 절대 빠지지 않는다. 남에게 은혜를 베푸는 행위나, 좀더 친숙해지기 위한 행동 중에 음식은 필수다. 굶는 것의 서러움, 배부름이 주는 안위. 식욕은 그야말로 인간 존재의 가장 근원적인 욕망이지 않을까 싶다. 그러다 보니, 시도 때도 없이 사람들은 먹어대기 시작했고, 현대인에게 비만은 무엇보다도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두려운 질병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밥따로 물따로의 실천은 일체의 간식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감식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근원적인 욕망의 제한을 그 전제로 하기 때문에 쉽지가 않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우리네 삶이 이토록 강퍅하고, 서로 물고 뜯는 이유는 보다 더 많이 먹고자 하는 이유 문이지 않은가 싶다.(극도록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만약 우리가 먹고 사는 것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면 우리는 얼마나 평화로울수 있으며,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련지 상상이 가지 않을 정도다. 바로 그런 측면에서 감식은 세상의 평화를 향한 촛불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바로 그런 이유때문에 아주 간단하게 생각되어지면서도 아주 어려운 실천방법이기도 한 것이다. 이것을 진리라고 말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으나, 이 방법 또한 간단하고, 바로 우리 가까이에 있다는 점에서, 욕망의 억제를 통해 욕망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한다는 점에서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을듯 하다. 내 몸의 간단한 실천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이 될수도 있겠다는 희망을 가져본다. 물론 이 책이 세상을 변화시키자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몸의 건강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 욕망의 통제가 가져올 수 있는 변화를 생각해보면 상상만으로도 행복하다.
한번쯤 내 몸에 대해 돌이켜보도록 하자. 정신과 육체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몸은 그야말로 세상을 바라보는 소중한 자산일 것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