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렇게 못되고 경우없는 놈이 그토록 강하다는 것은 알 수도 없고 인정할 수도 없었지만, 그놈은 어쨌든 강한 놈이었다. 개는 견딜 수 없는 것을 견뎌야 한다. 그러나 그것을 어찌 견딜 수 있단 말인가. 그렇다고 해서, 견딜 수 없다면 또 어떻게 할 것인가. 물린 다리는 땅을 디딜 수 없이 힘이 빠졌고 내 몸이 아닌 것처럼 허청거렸으나, 그 욱신욱신 쑤셔대는 고통은 모조리 나의 것이었다.(182~183쪽)

그렇다. 살아간다는 것은 견딜 수 없는 것을 견뎌내야 하고, 견뎌내지 못하다라도 견뎌내는 일인 것이다. 못된 놈이 강하고, 세상이 쑤셔대는 날카로움에 온 몸이 쑤셔대는 것. 그 고통을 고스란히 내 몸으로 간직한다는 것이 바로 이 땅에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개의 입장에서 바라본 세상살이다. 뭐, 그렇다고 인간 세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로 가득찬 그런 소설은 아니다. 살아간다는 것의 신산함을 개의 눈으로 이야기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 소설의 개는 절대 애완견이 될 수 없다. 온실의 화초처럼 보호받고 살아가는 애완견마냥 살아가는 사람은 없으므로, 당연히 소설 속 개는 땅을 밟고 발바닥에 굳은 살이 박히는 개여야만 한다. 우리네 발바닥에 굳은 살이 박히듯. 애완견마냥 발에 헝겊떼기를 감싸안고 살아갈 수 없는 우리네 삶이기 때문에.

주인공 보리는 진돗개다. 그는 댐공사로 수몰되는 마을에서 태어나, 가난에 찌들려 살아가는 어촌마을로 옮겨진다. 그렇다. 이 소설의 배경은 우리의 과거 이야기이다. 하지만 결코 과거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그 찢어진 가난은 여전히 우리의 고향에 존재하고, 우리네 삶은 여전히 신산스러우므로. 보리의 바람은 사람이 눈치가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 개의 마음으로 개의 일을 판단하지 못하고 개의 마음을 헤아리는 눈치 말이다. 개를 헤아리지 않더라도 사람들끼리라도 눈치를 잘 살피라고 말이다. 제멋대로 막가는 사람이 잘난 사람 대접받고 소신 있다 칭찬받는 개수작 부리지 않는 세상이기를, 지나가는 개가 웃을 일이 없도록 말이다. 하지만 사람이 부러운 경우도 있다.

사람들은 개처럼 저 혼자의 몸으로 세상과 맞부딪치면서, 앞다리와 뒷다리와 벌름거리는콧구멍의 힘만으로 살아가지를 못해. 나는 좀더 자라서 그걸 알았어. 그것이 사람들의 아름다움이고 사람들의 약함이고, 모든 슬픔의 뿌리라는 것을.(42쪽)

사람들은 부대끼며 살아간다. 그 부대낌이 삶을 아름답게 만들기도 하고, 슬프게 만들기도 한다. 그것이 우리가 걸어가야 할 인생의 행로다. 그 행로에 항상 눈치를 보아가며 서로를 따듯하게 대해줄 힘을 가지고 있지도 못하는 약한 존재다. 그래서 발바닥에 굳은 살이 박히도록 걸어야만 한다. 그러나 그 굳은 살이 바로 살아가는 힘이 된다. 굳은 살이 박히지 않는 개는, 아니, 사람은 조그만 진흙에도, 빙판에도 거꾸러진다. 굳은 살은 비바람을, 눈보라를 이겨내는 힘이다. 삶의 상처다. 그리고 행복이다.

보리는 주인 아저씨의 죽음으로 모두 이사 가야 하는 주인집에 따라가지 못한다. 아파트는 진돗개가 살 곳이 못된다. 앞으로 보리가 어디서 어떻게 살아갈지 알 수가 없다. 그 정처없고 예견할 수 없는 보리의 삶이 바로 나의 행로다. 그의 상처가 바로 나의 상처이지만 서로 핥아줄 혀를 지닌 동반자가 있으므로(있을 터이니) 삶은 아름다울 것이다. 스산한 바람이 지나면 꽃은 필 것이다. 개는 그 꽃밭의 향기를 맡으며 힘차게 뛰놀것이다. 개의 굳은 발바닥을 찬양하며... 또 닥쳐올 스산함을 견뎌내야만 할 그 굳은 발바닥을... 사라지지 않을 그 스산함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