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저녁 11시 SBS 스페셜<유언...>을 보았다.

감당못할 좌절감에 온 몸을 불살러 죽으려 했던 권투선수가 극적으로 살아나, 도장을 꾸려가며 못 다 이룬 세계 챔프의 꿈을 제자들을 통해 이루려 하는 모습은 삶의 의지를 불태우게 만들었다. 그의 유언 중에선 자신을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준 아내에 대한 사랑이 넘쳐난다. 진짜 환생이 가능하다면 나는 내세에도 당신을 만나겠다. 비록 당신이 나를 거절할지라도 나는 당신을 찾아서 이생에서 빚진 것을 꼭 갚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소개된 분은 루게릭 병에 걸린 아주머니. 남편은 암 투병중에도 자신을 간호하다 결국 1년전 세상을 떠나고, 지금은 두 딸이 자신을 거들고 있다. 몸이 점차 말을 듣지 않고 결국 숨조차 쉴 수 없어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그녀는 자신이 움직일 수 있을때 딸들에게 전하고픈 글들을 남겨놓았다. 이렇게 투병에 괴로워하던 나의 모습도 잊지 말아달라는 그녀의 글은 가슴을 아프게 만든다. 일반 사람들은 잘 알아들을 수 없는 그녀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큰 딸의 모습은 감동이다. 특히 작은 딸에게 해준 것보다 자신이 받은 것이 더 많아 미안하다고 말하는 모습에서 엄마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되새긴다.

당뇨병에 걸린 아내와 암에 걸린 남편의 유언 등등.

<인생 9단>이라는 책에서 저자가 매년 한번씩 유언을 쓴다던 이야기를 떠올리며, 지금의 삶을 아름답게 가꾸어가야겠다는 의지를 일깨운다. 이것이야 말로 아마도 방송 제작진이 의도했던 것이었으리라. 난 유언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한가지 더 떠오른게 있었다.

사람들 사이에 생겨나는 빚. 한없이 일방적으로 퍼주거나 받는 관계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관계 속에서도 채무감은 분명 들게된다. 대한민국에서 장남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는 그런 채무감을 깊게 느껴야만 하는 사회적 압력이 아닐까 생각도 해본다. 그러나 사회적 압력을 떠나 개인적으로도 사람들 사이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끝없는 채권채무의 사랑이 오간다. 비록 꼭 갚아야 할 필요가 없을지라도, 도저히 갚을 수 없는 또는 감당할 수 없는 사랑을 받을지라도, 그건 빚이다. 빚이라고 생각한 순간 관계는 지속된다. 빚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철저한 냉혈한이던가 세상을 초월한 도인일 것이다.

물론 내 삶이 빚에 얽매여서는 안될것이다. 하지만 누군가와의 빚잔치가 끝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다. 모든 것이 사라진 청산의 관계는 없을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빚의 부담이 있을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준 게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 플러스 마이너스에 대한 개념없이 항상 마이너스로 생각하는 삶이라면, 즉 난 언제나 채무자임을 자각한다면, 그리고 그 채무를 꼭 당사자에게만 갚아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조금은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편안해지려나. 위의 유언을 남긴 사람들도 채무의 대상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면 눈물이 줄어드려나.

가슴에 빚을 지고 살아보자. 이미 나는 세상으로부터 많은 빚을 지고 살아가고 있지 않는가? 그 빚을 세상에 조금씩 조금씩 갚아가보도록 해보자. 한없이 가벼워질 몸과 마음을 위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