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맛
로알드 달 지음, 정영목 옮김 / 강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모든 禍의 근원은 욕심에 있다고 선인들이 말씀하시고, 경서를 통해 주의를 주건만, 으례 당연한 가르침임에도 당연하게 지켜내지 못하는데서, 그런 말씀들이 세월의 잊혀짐 속에서도 굳건히 남아 우리의 눈과 귀로 전해져오는 것은 아닌가싶다. 남의 것을 탐내지 말라, 시기 질투하지 말라 같은 명령투의 금언들은 간혹 왜 그래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조차 갖지 못한채, 그저 지켜야만 하는 무엇으로 인식되건만, 실행은 무던히도 힘들다. 아마 금지된 행동이 가져올 결말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말고는 정작 그 말씀들이 힘을 가질 수 있는 어떤 근거도 가지고 있지 않는 탓일지도 모른다. 아니, 근거의 빈약보다는 차라리, 욕망의 실현이 가져다 줄 달콤함이 잘못된 결말이 불러올 참혹함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일련지도 모른다.
이런!!! 로알드 달의 <맛>이라는 이 단편집은 너무나도 재미있는 이야기인데, 나는 엉뚱하게 이다지도 딱딱한 소리를 해대고 있다니... <맛>을 읽는 재미는 마치 맛있는 과자가 다 없어질까봐 조심조심해서 하나하나 꺼내먹는 것에 비유될정도로 크다. 마지막 반전이 가져다주는 유쾌함과 통쾌함. 그래서 오히려 그 마지막 반전 앞에서 호흡을 가다듬고 잠시 읽는 것을 멈추고 싶을 정도다. 이 반전을 읽고 나면 이 이야기가 끝이 난다는 점이 너무 아쉬워서 말이다.
<맛>에 실려있는 단편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은 어떤 일관된 흐름을 가지고 있다. 먼저 주인공이 집착하는 무엇인가를 소개하고, 그것을 발견한 다음, 그것을 얻기 위한 작업에 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집요한 작업의 과정 속에 드러나는 주인공의 심리 묘사는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행동이나 대화를 통해, 마치 내가 그 탐욕의 현장 바로 그곳에 있으면서 주인공인마냥 착각할 정도록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그리고 바라던 바를 얻어낸 것 처럼 느끼는 바로 그 순간, 성취감이 느껴질 정도의 느긋함이 어떤 여유로움을 주는 바로 그 순간에 로알드 달은 독자의 뒤통수를 사정없이 후려 갈긴다. 뒤통수를 얻어맞은 독자는 눈알이 튀오나올 정도록 아프기 보다는 웃음보가 터져 눈물을 흘릴 것이다. 그리고서 가슴 깊게 다가오는 탐욕의 허무함과 상실감.
자, 그 뒤통수를 맞고도 당신은 바로 그 어떤 것에 집착해 조마조마해하며 살아갈 것인지 저자는 입가에 웃음을 띠운채 넌지시 묻는다. 독자에게 어떤 직접적인 설교를 하지 않으면서도, 사람의 욕심이란 것의 끝없는 확장과 그 허무한 결말을 통해 작가는 유쾌한 삶의 행로를 살짝 보여주는 것 같다. 내가 웃어제낀 바로 그 어리석은 탐욕의 주인공처럼 되지 말라는 충고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