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감염을 무척이나 두려워하는 듯하다. 오죽하면 항균 99.9%, 살균이라는 단어가 마케팅의 키워드가 됐겠는가. 인간의 감염에 대한 공포는 구제역 사태를 보면 더욱 실감할 수 있다. 감염에 대한 조그마한 가능성에도 무차별 살처분을 눈하나 깜짝하지 않고 실행하지 않는가. 이 소설은 작가가 비명을 지르며 땅속에 파묻혀 간 소, 돼지들을 모티브로 써내려간 것이다. 만약 감염의 대상이 소, 돼지가 아니라 인간이라면 어떨까? 라는 상상이 소설을 이끌어간다. 

감염에 대한 이야기는 영화를 통해서 특히 좀비라는 형식을 통해 워낙 많이 접했기 때문에 이 소설이 식상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소설은 전혀 식상하지 않다. 점차 감염이 확대되고 사건이 결말로 치달아갈수록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아니,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고 하면 이 표현이 식상하다. 할리우드식 줄거리에 익숙한 사람일 수록 이 소설의 전개는 그야말로 충격에 가깝다. 한마디로 리얼하기 때문에 충격적인 것이다. 전혀 리얼하지 않은, 소설이라는 만들어낸 이야기임에도, 리얼하다는 말로 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다. 애써 감정이입이 된 주인공들이 가차없이 비극적 결말을 맞는다. 그것을 슬퍼할 겨를도 없다. 비극은 비극으로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너무나 어두운 소설이다. 물론 질서의 파괴가 몰고 온 인간성 파괴라는 극단의 상황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의 불꽃은 있다. 곳간에서야 그 누구나 인심 쓸 수 있지만 빈 헛간에서야 쉬운 일일까. 사람의 됨됨이는 곳간이 아니라 빈 헛간에서 알아볼 수 있다. 그래서 99%의 절망 속에서도 단 1%의 희망이 있다면 우리는 그 희망에 목을 맨다. 하지만, 정녕 나는 또는 당신은 그 1%가 될 수 있겠는가 자문해본다. 또한 이 소설을 덮으면 떠오르는 것이 우리가 생명을 사물로 식품으로 대한 것은 아니었는가 반성해보게 만든다. 한편 더 나아간다면 도대체 생명산업이라는 조어가 가당키나 한 말일까 곰곰해 생각해본다.  

 

삶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다. 본성이었다. ... 그것이 삶이 가진 폭력성이자 슬픔이었다. 자신을, 타인을, 다른 생명체를 사랑하고 연민하는 건 그 서글픈 본성 때문일지도 몰랐다. 서로 보듬으면 덜 쓸쓸할 것 같아서. 보듬고 있는 동안만큼은 너를 버리지도 해치지도 않으리란 자기기만이 가능하니까. 3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