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을 위하여 - 우리 인문학의 자긍심
강신주 지음 / 천년의상상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수년 전 민음사에서 나온 <김수영 전집>을 샀다. 어떤 계기로 김수영 전집을 사게 됐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시가 읽히지 않아 그냥 산문만을 읽었다. 자주 접하지 않은 한자가 많아 산문을 읽는 것도 만만치 않았다. 아마 그즈음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라는 책을 접하고 시 읽기에 대한 자신감이 팽창해진 탓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풀>이라는 시에 매료되었기 때문이려나. 

아무튼 함락하지 못한 성은 두고두고 미련으로 남는다. 언젠가는 꼭 그 성 안으로 들어가보겠다는 소망을 쉬이 놓아버릴 수는 없다. 그러던 차 그 성으로 들어가는 열쇠가 주어졌다. 바로 강신주 철학자가 쓴 <김수영을 위하여>다. 어떤 시선으로 시를 대할 것인가는 독자 개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쨋든 요즘 대세인 인문학적 시선으로 김수영의 글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 것도 재미있을 성 싶다.

강신주는 이 책에서 일관되게 김수영을 바라본다. 그의 시선은 김수영에 대한 한없는 애정으로 가득 차 있다. 김수영의 외로움, 고독의 깊이를 자신은 체험해 보았다는 동지애적 성격도 강하다. 그의 개인사가 김수영과 어떻게 연관이 되어 있으며, 그래서 이제 김수영을 정리하고 자신도 김수영으로부터 독립함을 선언한다. 시가, 인문학이, 아니 인간이란 바로 단독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누군가를 흉내내거나 이념, 종교, 권력, 자본의 휘하에 휘둘려서는 아니되서다.

강신주가 바라보는 김수영은 이런 단독성을 억압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저항한다. 즉 자유를 얻기 위한 고된 싸움을 계속하고 고독 속에서 고군분투 한 것이다. 인간이란 단독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밝히는 것이 바로 시라는 것이다. 혼자 도는 팽이처럼 그 누구, 어느 것에도 기대지 않고 스스로 돌아야 하는 것이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인 것이다. 난 나인 것이다. 그러나 이런 단독성이 타인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나이듯이 다른 이의 단독성도 똑같이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단독적 개인의 완성이 전제되었을 때만이 코뮌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바로 단독성이 확보되었을 때만이 보편성도 획득 가능한 것이다.  

이책은 그러하기에 현재의 나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나는 단독적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도록 만든다. 막강한 자본의 힘과 아직도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념과, 온 세상 가득한 종교와 안하무인격 권력 앞에서 그 어느 하나에도 기대지 않고 숨지 않고 내가 나임을 표명할 수 있는지, 또는 나를 잃지 않으려 저항하고 있는지, 아니 나라고 하는 흔적이나 찾을 수 있는지 물어보게 만든다. 그래서 이 책은 김수영을 위한 것이자, 자유를 위한 것이자, 단독적 개인을 위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