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손영기 지음 / 북라인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책은 전반적으로 해석의 문제에 집중되어져 있다고 본다. 한의학이란 것이 고정불변의 진리를 담은 책이라기 보다는 그 시대 사람들의 건강에 관련된 문제들을 그 시대의 눈으로 바라본 것임을 전제로, 한의학은 자연과 인간등 세상만사의 진리를 담아내고 있다고 본다. 음양과 오행이라는 틀을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그대로 인간에게 적용되어진 것이 어찌보면 한의학의 사유체계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임상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면 분명 우리의 생활에 중요한 일부분일 터이다.

고대 중국의 4가지 의학의 발달은 그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것임을 밝히고, 또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병의 종류와 그 대처법도 변해왔음을 보여준 저자는 그것이 우(공간)와 주(시간)라는 시대와 공간이라는 제약때문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그런 제약을 염두에 둔 해석적 자유를 펼치는데, 현대의 문제를 토의 울로 보는 관점에서, 저자는 새로운 마이너스 건강법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즉, 공해와 먹거리의 오염, 스트레스의 증가로 오행 중 토가 울되어져 있는 것이 먼저 해결되지 않는한 음양의 변화나 오행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의 다른책 먹지마 건강법 등을 통해서 육식의 금지, 인스턴트 식품의 금지, 3백 식품의 금지 등을 주장한다. 이것은 모두 토의 정체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그렇기에 해토를 먼저 해주어야지만 비로소 우리가 흔히 접하는 녹용, 인삼과 같은 약성이 강한 약재들도 효력을 발휘할 수가 있다고 보는 것같다. 즉 과잉섭취된 영양과 독소로 말미암아 비위와 장이 상해 있는 상태에서 제아무리 좋은 보약을 먹는다 하더라도 결코 건강해진 몸을 가질 수는 없는 것이다. 오행의 각 요소에 연결되어져 있는 오장과 육부중 토라는 것은 나머지 목화금수의 변화와 움직임을 조절해주는 작용을 하는데 이것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순조로운 운행은 어불성설일 것이라는 뜻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현재 서울이라는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건강해지기 위해선 영양과잉과 독소로부터의 해방을 먼저 이뤄야만 하며, 그것은 바로 해토라는 방법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한의학을 제대로 공부해보지 않은 독자로서 저자의 주장이 과연 정설인지, 또는 올바른 해설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시대와 지역적 흐름에 따라 우리의 몸과 마음도 변해가는 것이 옳다면 그의 한의학 이론에 대한 재해석도 분명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는듯하다. 그리고 또한 몸과 마음을 따로 보지 않았던 우리네 사유체계를 전제로 어떻게 먹을 것인가와 함께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에도 깊은 관심을 보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두려움이나 슬픔 기쁨 등등이 장부와 연결되어져 있다고 본 선조의 생각이 꼭 그대로인지는 알 수 없으나, 분명 마음과 몸이 서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그 진위에 대한 연구와 함께 마음에 대한 공부 또한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