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름다움은 마치 높고 날카로운 삶의 비명과 같다. 아름다운 것들은 처음부터 조용히 자신을 묻고 숨어 살 수 없다. (중간생략) 사람이 아름다움을 염원하고 추구하는 것은 단 한 가지 이유 때문이다. 아룸다움 그 자체, 설명할 수 없고 이해할 필요도 없이 그저 받아들이기에 족한 절대의 가치.

미실은 <화랑세기>전반부에 등장하는 여성이다. 신라시대의 정치권을 쥐락펴락했던 색공지신(色供之臣ㅡ 임금에게 몸을 바치는 공양을 통해 임금의 신체에 대한 눈을 뜨게 해주는 신하정도로 해석할수 있지 않을까)이다. 3대에 걸쳐 임금을 공양하면서 실질적으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통일의 의지를 갖었다기 보다는 그로 인한 정치적 흐름이 통일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어진 것이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여성의 권력에 대한 상위나 우위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여성의 주체적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을듯 하지만) 나는 소설을 읽으면서 오직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만 생각했다. 미실은 경국지색의 미녀. 그녀는 자신의 아름다움으로 인하여 사랑에 실패(정작 그녀는 한번도 자신의 사랑에 대해 후회하지 않았노라고 고백하지만)하기도 하고, 권력투쟁에 휘말려들기도 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지만 정말로 이것은 오직 아룸다움에 대한 노래다. 그녀가 권력을 얻은 것도 오직 아름다웠기에 가능한 것이요, 힘든 삶을 살았던 것도 오직 아름다움으로 인한 자초다.

박애란 위선이거나 몽매에 불과했다. 그녀가 아니더라도 이미 세상은 불공평했다. 나고 살고 죽는 모든 일에서 그러했다. 어쩌면 천지를 주관하는 신명까지도 아름답고 추하고 행복하고 불행한 일에 지극히 편벽되이 권력을 행사하기 마련이었다. 

이 시대의 삶은 아직 지금과 같은 도덕과 금기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녀는 아름다움이 갖는 힘을 이용해 주위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뜻대로 삶을 영위한다.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지언정, 그 아름다움을 구원하는 것은 오직 자유뿐이다.

자신의 마음이 흐르는대로, 몸이 움직이는 대로 사는 삶이 그녀를 권력의 중추자리로 옮겨놓았다. 오직 이것은 아름다움 덕분이다. 아름답지 않은 미실이었다면 결단코 불가능한 일이다. 즉 아름다움이 바로 힘의 원천이다. 여성으로서라고 단정지어 주체적 삶을 이야기할 것이 아니라 오직 아름다움에 대해서 이야기 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리고 그것은 팜므파탈과 다르다. 아름답지만 남자를 파괴한다거나, 권력을 파괴하는 악의 성질이 아니라, 권력의 중심에 놓여서 세상을 움직이는 힘을 갖는다. 몰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는다. 자신의 사랑을 방해하는 황제들의 힘, 꺾이어진 첫사랑, 다시 찾아오는 사랑 등등.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미실에게 있어서 사랑의 완성이었을 뿐이다. 그 슬픔과 좌절과 희망과 사랑의 모든 감정이 녹녹지 않은 문장 속에서 삭풍에 메마르지 않는 솔과 같은 푸르디푸른 힘을 갖는다.

추측에 불과하지만 사람들은 아마도 미실을 통해 이상적인 여성의 모습을 찾아내는지도 모른다. 거리낌 없는 삶을 이루는 그녀의 꿋꿋한 걸음걸음을 찬앙해마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엄연히 아름다움을 전제로 한 것이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도덕률도 싹트지 않는 사회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마치 지금의 페미니즘-생태학자들이 주장하는 원시농경사회(우연인지도 모르지만 소설 속에서도 이런 것을 암시하는 부분이 있다. 쟁기와 소를 이용하는 경작법의 발명을 통해 생산량의 증가가 이루어졌다라는 부분은 이제 머지않아 미실과 같은 여성성이 사라지고 남성의 시대가 도래함을 의미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원시 농경사회와 쟁기를 이용한 경작의 차이는 농사를 짓는데 있어 근력을 필요로 하는 힘의 시대, 즉 남성 호르몬을 직접적으로 필요한 시대로 돌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 대한 동경을 미실은 한 몸에 지니고 있는듯이 보인다. 따라서 마치 우리가 잃어버린 그 무엇인가를 미실이 가지고 있다는 낭만적 생각을 품도록 만든다. 분명 그것은 일정부분 참이며, 여전히 우리가 아름다움을 거의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것만큼 동의할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낭만적 이상주의에 가까운 모습으로 비쳐진다. 미실이 여자로서 정말 대단한 일을 했다라는 평가로 내려져서는 안될듯 싶다. (그녀처럼 살아갈 수 있는 시대를 바란다는 것은 여전히 황제와 백정의 구분이 있는 사회를 원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전히 전쟁이라는 잔혹한 힘의 투쟁의 한가운데 있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미실이 돋보인 것은 이러한 신분이라는 깨치지 못할 계급적 상황에서 맨 상위부분을 차지했기에 가능한 것이다. ) 여성으로서가 아니라 오직 아름다웠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황제를 포함해 당시 힘의 원천은 아름다움이었다. 아름다움은 好 不好중 호를 뜻하며, 이는 사람에 대한 引力이요, 따라서 권력을 품는다.

그러나 그녀가 나이를 먹어 이내 삶의 의미를 깨닫는 부분에서처럼, 행복은 권력을 쥐었다거나, 아름다움을 가졌다고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의 힘으로 삶을 통제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다. 이 모든 것을 함께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것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마음(그녀는 죽음직전 해탈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신의 이 모든 것을 함께 해 줄수 있었던 주위의 사람들, 죽음마저도 초탈한 사랑을 해준 설원, 그녀를 이해해준 황제들과 대비들 등등.

외모적 아름다움이 지고나서 주름살이 늘어나서야 비로서 미실은 참 행복을 깨우쳤다. 아룸다움은 힘이자 죄이므로 결코 행복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나에게 있어 사람은 행복해야만 한다. 그래서 미실이 정녕 아름다움을 잃었을 때 비로서 아름다움을 찾았으며, 또 그때 비로서 행복의 의미를 깨우쳤다고 말하고 싶다. 그녀가 휘두른 아름다움의 힘에 눈이 멀어 그녀를 동경해서는 안될듯 싶다. 미실이 돋보인것은 금기와 도덕에 휘말리지 않고 권력의 중추에 서 있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것으로부터 초연해진 말년의 모습속에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3-23 09: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루살이 2005-03-23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근데 제가 욕심이 많은 건가요? 자주라니요!!! 너무나 오랜만이라 언제적 일이었는지 가물가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