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 성격을 띤 글입니다.

 

반전 영화는 영화가 끝날 때 앞부분을 떠올리도록 만든다. 지금까지 전개됐던 이야기들이 반전을 통해 어떻게 일목요연하게 다른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 무언가 말이 되지 않는 요소는 없는지 살펴보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반전이 전혀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거나, 그 결말로 인해 앞의 모든 내용들이 하나로 꿰어 맞춰지면 이내 흡족해한다.

그런데 이 영화, 진 핵크만과 모건 프리먼, 모니카 벨루치가 주연한 <언더 서스피션>은 반전으로 인해 과거를 돌이켜보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의 내용을 생각하게끔 만든다. 영화가 끝나고 자막이 오름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이 영화 속 인물들은 어떻게 될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내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자아내고 있는 것이다.

대륙으로부터 떨어진 섬. 세금 변호사인 진 핵크만은 13살 소녀의 시체를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한다. 이것은 2주전 12살 소녀의 살해에 이은 연쇄살인 사건이다. 핵크만은 56세때 20살 이었던 모니카 벨루치와 결혼한 사이다. 형사는 2주전 살인사건 현장에서 발견된 핵크만의 자동차와 또 다시 일어난 살인사건의 목격자로 우연히 겹치는 핵크만을 용의자로 생각한다. 더군다나 그에게 심문을 해갈수록, 또 조사를 해갈수록 그가 어린 여자를 좋아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각방을 쓰고 있는 이들 부부의 불화 원인도 나이 어린 여자 조카에 대한 은근한 눈빛으로 인해 발생했다. 게다가 사진찍기가 취미였던 핵크만의 현상실에서 살해된 두 여자아이의 사진까지 발견된다. 심문은 집요하게 이어지고, 끝내 핵크만은 살인을 자백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조금은 예상가능한 반전. (너무나 쉽게 드러나는 핵크만의 범행동기와 증거들로 인해 오히려 불편한 의심을 자아내게 만든다)

보통 반전은 그저 하나의 충격일뿐인데, 이 영화 속 반전은 충격이라기 보다는 영화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랑을 정의하는 것은 여러가지이나, 그 중 빼먹을 수 없는 것이 믿음이다. 믿음이 약해지는 자리에, 질투는 자리한다. 그리고 그 질투의 힘은 사랑을 좀먹고, 드디어 파괴시킨다. 영화는 그 파괴성을 드러낸다. 과연 반전으로 드러난 사실로 인해 부부는 행복해질 수 있을까? 금이 간 사랑을 불량품이 되어버린 믿음이라는 접착제로 부서지지 않게 붙여낼 수 있을까? 산산조각나 버린 사랑이 무너지는 소리가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