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0일 오전 비 오후 늦게 갬 오전 14도 오후 19도 하우스 오전 19도 오후 23도

 

오전엔 새로 지은 120미터짜리 하우스 두 동의 작업장 내부 평탄화 작업을 했다. 비가 오니 하우스 안에서 작업을 하는게 훨씬 낫다. 날마다 비나 왔으면 좋겠다. ^^

 

오후엔 새 하우스 안에 돌들을 치웠다. 표면에 보이는 돌만 줍는데도 한참이 걸렸다. 쏟아지는 돌도 엄청 많다. 쟁기질을 하고 나면 지금 치운 돌보다 몇배는 더 많이 나올텐데...

 

사흘전에 파종했던 볍씨에선 모가 나기 시작한다. 이 모를 보고 있자니 잡초라고 부르는 풀과 무엇이 달라 사람들의 손에 애지중지 키워질까 잠깐 생각에 잠기게 됐다. 서로 닮아 있지만 한쪽은 뿌리가 뽑혀야 할 처지고, 다른 한쪽은 옮겨 심어 종자를 최대한 많이 생산하게 될 것이다. 사람은 이렇게 가름을 한다. 내가 갈라서 버려야 했던 것들이 무엇이 있었나 돌이켜본다. 가장 최근의 가름은 도시와 시골이겠다. 도시를 버린 것은 무엇때문이었을까.

흙살림 토종연구소 농장엔 정자가 3개나 있다. 2년 전쯤 만들어진 것인데 이 중 가장 크고 멋진 것이 3000만원 정도 들였다고 한다. 기와값만 7백만원 정도. 나무값도 5,6백만원이 들었다고 한다. 한 칸 짜리 정자가 이 정도 경비니 제대로 한옥집을 짓는다면 얼마만큼 돈을 쏟아 부어야 할지 상상이 안 간다.

물론 요즘엔 공장식 한옥 재료로 맞춤식 집을 지을 수 있어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도 가능하다고는 한다. 그래도 한옥은 엄두가 안 간다.

 

저녁엔 흙살림 이사로부터 꽤 소중한 조언을 들었다. 귀농을 할 준비를 하는 거라면 일보다 작물에 우선 순위를 두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일에 치여 생활하면서 느꼈던 불만을 털어버릴 수 있는 방안이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현재 연수생 3명 중 반장을 맡고 있는 김형이 일을 좋아하는 스타일이라 할 수 없이 따라갔었는데, 이젠 적절한 제동이 필요한 시점일 듯 싶다. 작물의 생태를 꼼꼼히 살피고 스스로 궁금한 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라는 이사의 말씀이 적절한 해결책이 될 것 같다. 물론 현실은 이렇게 간단치 않을 것이다. 해야 할 일은 쌓여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선 순위를 바꾸어야만 한다. 그래야 작물을 키우는 농부로서의 기본 자질을 탄탄히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공부는 스스로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