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엔 다른 농장에서 고추모종을 옮겨 심고, 오후엔 올해 심을 벼 종자 수량을 점검했다. 이곳 흙살림 토종연구소에서는 토종벼의 보존, 실험재배, 보급을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 조도, 산도, 흑미도, 천주도, 다다조, 옥돼지찹쌀(?) 등등 듣도 보지도 못한 종자들이 다양하게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토종 종자들의 대부분은 현재 재배되고 있는 종들보다 맛이나 풍미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지금의 종자들이 현대인의 입맛에 맞도록 개량되어 왔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전히 그 맛이 우수한 토종 종자들도 있다. 이들은 이땅에서 오랬동안 그 생명력을 유지해 온것만큼 병충해에도 매우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토종을 생산하는 농가도 별로 없을뿐더러 이것을 찾는 소비자들도 없어 토종이 활성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토종이 좀더 알려져 우리 땅에 굳건히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그날이 과연올 수 있을지 생각해봤다. 가마니를 들어 저울에 놓아 기록하고 다시 제자리에 갖다 놓는 와중에도 이런 생각을 하게 될만큼 여유를 갖게 된것이 신통방통하다.^^

 

저녁에는 실질상 귀농학교를 운영하시게 될 교장인 반명수 선생님과의 만남이 있었다. 반 선생님은 인근 소이라는 곳에서 농장을 운영하고 계시는 농민이시다. 그분의 몇십년의 노하우를 어떻게 전수받게 될지 사뭇 기대됐다. 반 선생님은 "일하는 게 즐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자신의 꿈을 시각화하면 즐거워지지만, 시간을 때우려고 생각하면 지겨울거예요"라며 한말씀 건네셨다. 한마디로 재미있게 일하며 배우자는 말씀이시다. 솔직히 지금까지 과정을 돌아보면 그다지 재미하고는 거리가 멀었다. 너무 꽉 짜여진 시간과 여유없는 노동이 조금은 숨막혔다. 게다가 일주일의 대부분을 풀뽑기와 돌줍기로 시간을 보냈으니 살며시 회의감이 드는건 어쩔 수 없는 일 아니었겠는가. 그런데 교장의 말씀이 귓전을 때린다. 혹시 난 지금 시간을 때우고 있었던 건 아니었을까. 무엇이건 기초라는 과정은 무던히도 지겹고 힘들지 않던가. 지금의 시간을 기초 체력을 다지는 시간으로 생각하며 보낸다면 조금은 재미를 느껴볼 여지가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교장은 아이디어가 넘쳐 흐른다. 문제는 그 아이디어가 과연 얼마나 현실화될 수 있을 것인가이다. 일단 농장에 음악이 퍼져 나가고, 허리 통증을 완화할 운동시설의 제조, 흙벽돌집짓기 교육 등등. 포부가 멋지다. 함께 재미있게 만들어 갈 수 있기를 바라본다.

 

 

 

 

아, 그리고 잡설 한마디. 우리 연수생들과 함께 농장을 지키고 있는 절름발이 암탉이 몰래 알을 낳았다. 옆에서 물도 꼴딱꼴딱 먹으며 아양을 떨더니 알까지 주다니 ^^ 볼 수록 물건일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