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가 뜨고 있다. <도가니>의 공유가 아니라 공유경제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다. '에어비앤비'나 '집카'와 같이 자신이 같고 있는 소유물을 타인과 나누어쓰는 경제행위가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 비해 아직 우리나라는 이 바람이 잔잔하긴 하지만 말이다. 김난도 교수는 정착유형의 사람들은 개인 소유욕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데, 아마 그 영향 때문에 내 것을 남에게 빌려준다는 것이 선뜻 내키지 않아서일지도 모르겠다.

이런 공유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그 기세를 더 올리고 있는 중이다. 아껴쓰는 차원을 넘어 이미 있는 것을 남들과 함께 향유함으로써 서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유경제의 출발은 빌려쓰는 사람은 적은 돈으로 똑같은 가치를 향유할 수 있다는 욕망에서, 빌려주는 사람은 가욋돈을 벌 수 있다는 희망에서 비롯됐다. 순전히 경제적 이득을 고려한 것이다. 그런데 이 행위가 단순히 경제적 이익의 차원을 뛰어넘는 색다른 경험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기존의 소유경제에서는 느껴보지 못했던 따뜻한 인간애에 감동받는 다는 것이다. 바로 이점이 공유경제가 힘을 얻고 또한 지속가능할 수 있는 힘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빌려쓰고 빌려주는 과정에서 인간적 접촉, 인간적 관계가 맺어지는 것이다.

이런 새로운 관계는 불교의 연기론을 떠올리게 만든다. 세상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는 것 말이다. 도법스님은 <지금, 당장>이라는 책에서 관계의 삶이 왜 좋은지 예를 들어보인다. 마치 공유경제를 이야기하는 것같다.

 

평소 한 사람의 한 달 생활비가 100만원이면 5인이 각자 살아가는 데, 5백만원이 들어갑니다. 만일 존재의 법칙에 따라 5인이 믿을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여 가족처럼 살면 어떨까요. 한 달에 3백만원이면 훨씬 풍요롭고 아름답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각자 독립해서 산다고 하면, 따로따로 밥을 해먹어야 하니 밥솥을 5개 사야 합니다. 다른 살림살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사회는 온통 내 것으로 만들고 쌓아놓아야만 문제가 해결된다는 강박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대단히 소모적입니다. 정말 우리가 중요하게 해야 할 일은 신뢰할 수 있는 관계의 회복입니다.

 

KBS시사기획 <창>에서도 실제로 공유경제를 통해 1년 생활비를 2천만원이나 아낀 사람의 이야기가 나온다. 공동주택에 공동 보모, 그리고 차 나누어 쓰기 등을 통해서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공유경제는 도법 스님의 말씀처럼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한국에서 공유가 어려운 이유는 소유욕이 강하다는 측면 이외에도 이 신뢰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내것을 빌려간 사람이 그것을 망가뜨리거나, 훔쳐간다면 어떻게 하나?라는 의심이 공유를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제도적 보완장치로 이러한 의심을 가라앉힐 수도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인간 대 인간간의 관계에서 신뢰가 쌓여야만 완숙한 공유경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런 공유경제를 통해 불교의 연기론이 존재의 진리임을 새삼 확인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비단 종교의 교리 차원을 넘어 인간이 인간이 믿을 수 있는 그런 세상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