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기는 음식
'맛있다'는 기준은 그야말로 상대적이다. 어떤 사람에겐 달콤한 것도 다른 누군가에게는 느끼한 맛으로 여겨진다. 어떤 사람은 쓰다고 느끼지만 다른 이는 그 속에서 쌉싸름한 맛을 즐기기도 한다. 그럼에도 맛집은 문전성시다. 맛있다고 소문이 나면 줄을 서서라도 그 맛 한번 구경하고픈 것이 인지상정이다. 배고픔을 달래는 음식이 아니라 즐기고픈 음식의 시대이기 때문이리라.
그렇다고 맛집의 음식이 마냥 맛있는 것은 아니다. 서두에 이야기했지만 당연히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일반적으로 또는 대중적으로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맛들이 있다. 조미료가 탄생한 것도 어찌보면 보통 사람들이 좋아하는 감칠맛을 찾아냈기 때문이지 않겠는가. 하지만 반대로 만화 <식객>에서 말하듯 감동을 주는 맛이란 바로 우리들 '어머니의 손맛'이기에 그 종류는 수백만가지라고 할 수도 있겠다.
여기에 한가지 더. 사람들이 원하는 입맛은 맛뿐만이 아니라 몸이 필요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먹고싶은 것을 먹는 것이 건강에도 좋다는 이야기가 바로 여기에서 나온 것이다. 비타민C가 부족할 땐 신 것이 당기는 등 우리 몸은 그야말로 과학적이면서도 신비한 존재인 듯하다.
체인점 입맛
그런데 이런 맛의 작동이 심각한 오염수준에 다다랐다. 바로 패스트푸드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먹으면 오히려 병이 든다. 맛있다고 생각하는 기준은 거의 지방과 당분 덩어리의 집합체다. 이런 입맛의 오염도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 바로 학교급식이다. 바로 유기농 식품들로 구성된 건강식단이 외면받고 있는 것이다. 학생들이 맛없다고 먹지 않는 것이다. 이 음식들이 학생들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잔반통으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래서 한 방송국 9시 뉴스 취재진이 이들 학생들에게 같은 비용으로 고기나 튀김이 들어간 반찬이 더 있는 식단을 차려주었다. 훨씬 맛있어한다.
건강한 유기농 식단은 버려지고 패스트푸드류의 음식은 환영받는 현실. 바로 여기서 딜레마가 발생한다. 더군다나 유기농 식단은 비싸기 때문에 급식단가를 맞추기 힘들다는 어려움까지 있다. 유기농 식단은 단순히 건강한 먹을거리 이외에도 건강한 농촌을 만드는 토대가 된다는 것을 이야기할 여유조차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아이들 입맛을 이대로 놔두어야만 할까. 각자의 개성대로라면 상관없지만 체인점 입맛이지 않은가. 또한 그 입맛을 평생 유지한다면 머지않아 엄청난 의료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학교와 유기농 농장간의 직거래를 통한 단가 낮추기, 유기농 식단을 맛있게 요리할 수 있는 레시피 개발. 이런 것은 상상 속에서만 가능한 일일까. 뉴스에 비쳐진 아이들 입맛을 지켜보자니 입안에 씁쓸한 맛만이 감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