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콰이어트 Quiet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수전 케인 지음, 김우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한해 <콰이어트>라는 책이 꽤 높은 인기를 얻었다. 베스트셀러로 명성을 떨칠 때 개인적으로 이런 선입견이 들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내성적 성격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책은 이런 내성적 성격에 대한 긍정이자 그들을 위한 위로일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많은 사람들에게 읽힐 가능성을 태생적으로 갖춘 셈이다. 그렇기에 궂이 이 책을 찾아 읽을 필요가 있을까. 나의 내성적 성격을 고칠 필요가 없다는 위안을 얻기 위해서 말이다.
그런데, 읽고 말았다. 이책 <콰이어트>를. 왜 사람들이 열광하는지 궁금해졌다. 나의 선입견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도 알아보고 싶었다. 그리고 책을 다 읽은 지금 책의 내용은 기대 이상이었다. 무엇보다도 세상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와 그 다양성이 갖는 장점을 살리고자 하는 작가의 인식 덕분이라고 말하고 싶다.
작가는 지금의 세상이 외향적 사람들이 기세를 떨칠 수 있도록 변모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교육현장에서 토론식 학습의 장려와 확장, 직장에서는 유창한 말과 사교 능력이 창의성이 있다고 해석되어지는 현실은 외향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에겐 천국과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내성적 성격을 지닌 사람들에겐 적응하기 힘든 고역스러운 곳이 되어버렸다. 이런 외향적 시대의 배경에는 산업화, 도시화가 깔려 있다. 즉 모르는 사람들과 무수히 접촉해야만 하는 환경에서 외향적 사람들이 빛을 발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인격의 문화가 성격의 문화로 대체되는 현상으로 설명해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라. 모든 사람들이 외향적이라면 그 조직이 어떻게 될지. 학문을 하는데 있어서도,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도 새로운 모험의 길을 개척하는 사람들이 필요한가 하면, 그 길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꼼꼼히 뒤돌아보며 살펴볼 사람도 필요하다. 그런데 모두다 앞으로만 나아간다면 결국 모두 벼랑 끝 바다로 추락하는 레밍쥐 꼴이 될 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각자의 성격 특성에 맞는 조직 내 임무를 맡아 협업을 하는게 중요하다. 즉 알맞은 자리 배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외향적 사람들만이 승승장구하는 그런 곳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되 멈춰서 반성, 반추할 줄 알 때 그 조직이 생존, 발전할 수 있는게 아닐까.
물론 그렇다고 해서 내향적 사람들이 항상 움츠러들며 수동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핵심목표가 생긴다면 행동의 한계도 뛰어넘는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특성에 맞는 자리를 찾아가고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핵심목표를 내세워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도 있어야 한다. 이런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때론 외향적인 척하는 연기도 필요할지 모른다. 그렇지만 어쨌든 이런 한계를 뛰어넘는 일은 무척 피곤한 일일 터이다. 그렇기에 이들 내성적 성격의 사람들에겐 회복환경이 필요하다. 외향적 사회에 발맞춘 피로를 회복하고 다시 세상에 뛰어들 그런 환경말이다.
물론 이런 외향적 세상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는 세상으로 변해가도록 노력하는 것이 먼저일 지도 모른다. 서로의 개성을 그대로 인정하고 그 개성에 맞춘 일을 할 수 있는 세상 을 위해 내성적인 사람들은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으론 IT의 발전으로 인해 내성적인 사람들도 그 꿈을 펼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얻게 됐다. 바야흐로 외향적인 사람들과 내향적인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며 서로를 인정해 줄줄 아는 풍성한 세상이 될 수 있는 보다 나은 세상이 다가온 것일지도 모른다. 이 책 <콰이어트>를 통해 내성적인 사람들이 자신의 긍정적 에너지를 세상에 맘껏 표출할 수 있는 용기를 얻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