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자부-기시감이라는 것이 미래에 대한 예언이나 예측은 아니다. 그저 막연히 현재의 일을 과거에 겪었던 그 무엇인냥 생각케 만드는 느낌일뿐. 이런 느낌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번쯤 겪어본 일일 것이다. 나의 경우는 꿈 속에서 누군가에게 쫓겨 도망친 파란 대문의 집을, 실제로 친구 집을 방문하다 똑같은 대문을 본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단순히 느낌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실히 기억되는 그 장소를 경험했다는 점에서 기시감과는 좀 거리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것 외에 두세번 정도 막연한 느낌을 받은 경우도 있었다.

영화에서는 이런 기시감을 근거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풀어가는 소재는 최첨단의 커뮤니케이션 매체인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 GPS, CC TV 다. 그런데 이야기의 근거가 되는 기시감도, 소재가 되는 매체들도 모두 조금씩 뒤틀려 있다.

여자 주인공 서유진의 기시감은 이미 기시감 차원을 넘어 거의 신들린 예시 같은 것으로 작용한다. 그날 하루는 정말 이상한 하루였는지 그녀는 모든 상황들을 다 겪어본듯한 느낌이 든다. 그리고 그런 상황들은 조금씩 모습이 다르게 나타나긴 하지만 어김없이 그녀에게 닥친다. 그렇다면 이것을 기시감이라고 할 수 있을까? 거의 선무당 수준이 아닌가? 사건을 미리 알고 있으니 예방도 가능하다. 예시는 그냥 예시일뿐 그것이 운명 그 자체는 아닌 것이다. 감독은 이걸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을... 하지만 그러기에는 무언가 석연치 않다. 그녀가 느낀 것의 정체가 기시감인지 예시인지 정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으니까 말이다.

그렇다면 영화의 소재가 되고 있는 첨단 매체들은 어떨까? 아무대나 들이대는 디지털 카메라의 위력, 그리고 집안을 나온 순간부터 모든 행동거지 하나하나가 모두 CCTV로 볼 수 있는 상황들. 그런데 이런 상황들의 위험성은 할리우드 영화 [에너미 어브 스테이트]에서 이미 멋들어지게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사건을 풀어가는 열쇠가 되는 사진의 원본에 대한 이야기는 얼마나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까? 요즘같은 디지털 시대에 과연 원본이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 복사나 또는 위조된 것과 원본이란 것이 그 차이성을 지닐 수 있을까? 원본이 사건을 해결할 수 있다는 발상은 디지털 시대의 젊은이들의 삶의 단편을 바라보는 감독의 시점이 아날로그화 되어 있는 모순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분명 매체가 변하면 삶도 변하기 마련이다. 맥루한이 말한 '미디어는 메시지'라는 것이 우리 삶에도 적용된다면 말이다. 메시지가 변해가는데 삶이 고정되어 있을 리는 없다. 마음대로 퍼가는 글, 2차 3 차로 옮겨지다 보면 도대체 그 원저자를 찾을 수도 없을뿐더러 이렇게 옮겨가는 도중에 글은 또 다른 색을 입는다. 디카가 내뿜는 위력이 또 얼마인가? 사회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디카는 과거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 숨겨진 것들을 자꾸만 밖으로 공공의 공간으로 들추어낸다. 아마 이런 들추어낸다는 의미에서 감독은 진범을 찾는 소재로서 첨단 매체들을 가져온 것은 아닐까 억측해본다.

아무튼 영화를 끌어가는 중요한 두 소재인 첨단 매체와 기시감이라는 것이 정말로 서로 동떨어진 것들임에도 불구하고, 영화속에서 하나로 묶여지도록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요즘 젊은이들의 삶의 한 풍면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영화는 참신했지만, 그것들이 보여주는 것이 잘 짜여지지 않고 무엇인가(some) 성겨있다는 것에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