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스티븐 킹은 이 책에서 자신이 인기 작가가 되기까지의 삶과 작가가 되기 위한 창작론 방법론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어렸을 적 IQ160이나 되는 형의 기행으로 인해 혼났던 경험들이며, 이런 저런 말썽피운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폭소를 터뜨리고 만다.  그의 말썽들은 '과연 작가가 될만하군' 이라고 생각되어질 수 있는 오해의 여지가 많긴 하지만, 가만히 자신을 되돌아보면 누구나 어렸을 적 악동이였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즉 누구나 작가가 될만한 능력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가 벌어들이는 금액은 실로 엄청나다. 사람들은 아마도 그의 명예와 함께 부도 부러워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것들을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타고난 글쓰기 실력 덕분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또한 엄청난 시련의 시간 뒤에 성공이라는 꿀맛을 맛본 경우이다. 세탁소에서 다림질 하기도 하고 근근히 영어교사로 지내기도 하면서도 그는 엄청나게 글을 써댔다. 물론 그의 뒤에선 묵묵히 그를 응원해준 아내가 있기도 했지만 그의 글쓰기에 대한 열정은 그야말로 보통 그 이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출판사에 원고를 보낸 후 보내 온 메모장을 벽에 박아논 커다란 못에다 꽂아 둔 것이 넘쳐날 정도로 무던히도 글을 써 댄 것이다. 흔히들 말하는 다독, 다작, 다상량이 있을때 좋은 글은 나오게 마련인가 보다. 스티븐 또한 책을 많이 읽고 많이 써 보는 것이 필수조건임을 이야기 한다.

그가 말하는 글쓰기 방법은

평이하고 직설적으로 쓰라. 수동태는 삼가라. 부사도 될 수 있으면 쓰지 말라.

그리고 자기가 잘 아는 것을 이야기 하라.

그렇다면 그 이야기는 어떻게 써 나가야 할까?

먼저 상황을 설정하고 그 상황에 갇혀 있는 등장인물들이 그들 각자의 방식대로 움직이도록 내버려둔다. 그렇게 만들어진 이야기들은 자신의 주제를 미리 정해놓고 틀에 갇혀두려 하지 말라. 그리고 대화 또한 많이 들어보고 진실하게 쓰라.  그리고 중요한 것은 수정을 통해 상징성과 주제를 점검할 것이며 수정은 원본에서 10%를 줄이도록 한다. 자료조사는 배경으로서만 작용해야지 그것이 글의 주제가 되어서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스토리다. 이렇게 요약될 수 있겠다.

하지만 책을 통해 가장 가슴깊게 배웠던 점은 엄청나게 써대는 그의 글쓰기 형태다.

무슨 일이든 시작하기 직전이 가장 두려운 순간이다. 그 순간만 넘기면 모든 것이 차츰 나아진다. (p333)

그렇다. 두려운 첫 순간을 넘어서고 나서 그에게는 거칠 것이 없었다. 계속되는 좌절, 시련에도 그의 글쓰기는 끝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재능을 믿었고, 또한 그의 아내도 그를 믿었다. 그리고 그 투철한 믿음을 가지고 끝내 포기하지 않는 글쓰기를 했다. 진정 그에게서 배워야 할 점은 창작론이나 문장이 아니라 그의 태도였다. 물론 방법론적으로 그의 방식이 큰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일단 써보아야 한다는 것, 그것을 자극한 그의 글쓰기는 정말로 유혹하는 글쓰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