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버튼 감독의 영화를 그다지 좋아하는 편은 아니다. 어두운 화면에 우울한 캐릭터들. 왠지 모르게 자꾸만 땅 밑으로 꺼져가는듯한 느낌을 주는 이야기들. 이 영화를 보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을 한 것도 그때문이었다. 그러나 포스터로 보여진 영화의 한 장면은 전혀 그답지 않게 밝았다. 그래서... 선택.

허풍쟁이 아버지. 아들은 아버지의 숱한 꿈에 대한 이야기를 지겨워한다. 환상 속에 살지 말고 제발 현실을 그리고 진실을 이야기해달라고 한다. 아버지의 죽음이 얼마남지 않은 시간, 아들은 아버지의 이야기와 진실 사이를 오가며 그의 인생을 재구성한다. 세일즈맨으로서 세상을 돌아다닌 아버지. 그 아버지가 만났던 사람들과 마을은 환상처럼 들린다. 아들은 아버지의 물건을 정리하면서 거짓으로만 알았던 그의 행적이 어느 정도의 진실을 담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또 하나. 그저 아이가 태어났다. 물건을 팔기 위해서 돌아다녔다. 결국 죽음을 맞이했다 와 같은 무미건조한 사실의 나열보다는, 강가에서 큰 고기를 낚다가 놓쳤을 때 태어난 아이, 어머니의 자궁에서 빠져나와 병원 바닥을 미끄러져 가면서 태어난 사건, 죽은 후 큰 물고기로 다시 돌아갔다 라는 전설과 환상이 사실의 자리를 대신했을 때 삶은 더욱 윤택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전해준다.

아버지가 겪었던 모험 중 인상에 남았던 부분들을 이야기해보면 이렇다.

18세때 마을의 영웅이었던 아버지는 과감히 마을을 떠난다. 거인은 거인이 숨쉴 수 있는 넓은 곳에서 뛰어다녀야 한다는 생각에.  유령이 나타난다는 숲을 지나다 마주친 평화로운 마을. 아무런 갈등도 없고 온화한 날씨 속에서 근심걱정없이 사는 곳. 사람들은 아버지를 대환영한다. 그리고 꼬마 아이는 그가 떠나지 못하도록 신발을 훔쳐서 나무 위에 내던진다. 하지만 그는 그곳에서 오래 머물지 못한다. 안락함보다는 맨발의 모헙을 택한다. 자신의 꿈을 쫓아서. 신발이 없다고 마을을 벗어나지 못하는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그는 맨발로 마을을 떠난다. 신발이 없다는 것은 그저 허울좋은 핑계일 뿐인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시시때때로 신발을 잃어버렸다고 칭얼댄다. 난 신발을 잃어버려 밖으로 나갈 수가 없다고)

마을을 떠난 그가 서커스 구경을 하다 마주친 아가씨. 그는 사랑에 빠진다. 한눈에 빠져버린 사랑. 그는 그녀와 결혼할 것을 다짐한다. 그리고 그녀에 대한 모든 것을 알기 위해 노예 계약을 맺는다. 서커스단의 잡일을 보는 대신 한달에 한번씩 그녀에 대한 정보를 한가지씩 얻는다는 것. 몇달이 지나가는 동안 그가 얻게된 정보는 대학에 다닌다, 황수선화를 좋아한다 등등. 언뜻 보기엔 그야말로 별 쓸데없는 정보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버지는 그 시시콜콜한 정보를 하나씩 얻을 때마다 행복해한다. 그리고 마침내 그녀를 마주쳤을 때, 아무짝에도 쓸모없다고 생각했던 정보들이 힘을 얻는다. 그녀의 집 앞을 온통 황수선화로 가득 채워버린 열정. 사랑을 위해서 그 모든 것을 다 바치는 그를 보면서 사랑에 빠진 사람의 무모함과 그 무모함에 대한 동경을 배우게 된다.

삶은 사랑만으로도 충만해지며 꿈만으로도 즐거워진다는 사실. 팀 버튼은 할리우드의 악동이 아니었다. 아니면 악동이 어느새 커버린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