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프로그램 중<공감>이란 것이 있다. 자주 보는 것은 아니지만 저번 주 금요일 우연히 보게된 <팔봉씨의 도전>편은 지금까지도 나를 오리무중에 빠지게 만들었다. 팔봉씨는 32살로 암벽등반에 푹 빠져있는 산악인이다. 일정한 직업도 없이 막노동판에서 일을 하며 모은 돈으로 캐나다 북서쪽에 위치한 베핀섬 원정길에 나선다. 한국인 최초로 3명의 원정대가 험한 길을 나선 것이다. 죽음과 대면하며 오르는 암벽. 혹시나 찢어질까 안절부절하며 머무는 암벽위 텐트에서의 새우잠. 낙석으로부터의 위협. 암벽에 빠져보지 않은 사람들이 보기에는 지극히 미친 짓이다. 하지만 빠진다는 것이 바로 미친다는 것일터. 북한산 인수봉에서 시작한 팔봉씨의 중독을 십분 이해하며 프로그램을 지켜봤다.


그런데...


아직도 내 머리속에 맴돌고 있는 것은 그가 이 원정을 마치고 돌아와 느꼈다는 심정이다. "미래에 대해서 생각하게 됐어요. 이젠 노후대책을 세워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대충 이런 뜻의 인터뷰.


모은 돈을 전부 투자해 다녀온 원정길에서 얻은 깨달음이라는 것이 노후대책이라니...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았다. 노후대책이라고 해서 뭐 특별한게 있을까 싶지만 분명 팔봉씨에게 있어 이것은 삶의 커다란 변화일 것이라고 상상되어진다. 저축, 모은다는 행위가 오직 바위를 향한 그리움이었고,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이, 이번엔 방편이 아닌 하나의 목적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는 그의 삶을 송두리채 바꿀 그 무엇이 될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가 암벽을 떠날 것이라고 생각되어지진 않지만.


그렇다면 그는 왜 느닷없이 그런 깨달음에 도달한 것일까? 암벽등반이라는 것이 항상 죽음과 직면한 스릴감을 맛보는 것일테지만 이번 원정에서의 경험은 그 극한을 경험했던 탓이었을까? 사신을 코 앞에서 만나고 헤어지니까 삶에 대한 집착이 강하게 일어난 것이었을까? 내가 살 수 있는 한 오래오래 살겠다. 산다는 것은 정말 소중한 것이다. 뭐, 이런 생각에 도달한 것이었을까? 아니면 내 돈을 전부 쏟아서 한번쯤 이런 경험을 했으니 다음에 또 한다고 해서 이번과 같은 감흥을 가질 수는 없을 것이다는 자족적 판단때문일까?


정말로 묻고 싶다. 난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으니 말이다. 당신은 마치 현실만을 위해 사는 것처럼 보였는데 깨달음은 어찌 먼 미래를 내다보고 있는 것입니까? 저는 그 뛰어넘을 수 없는 간격을 제 머리로, 가슴으로 메꿀 수가 없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도달한 깨달음입니까?


미루어 짐작컨대 살아있다는 것은 쉽게 포기할 수 없는 그 무엇일게라는 것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