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씩 댓글에 상처를 받는다. 특히 어떤 영화에 대해 개인적인 비판을 가한 글에는 무지막지한 글이 대롱대롱 달려있다. 건전한 비판이라면 좋겠지만 참 단순하게 산다. 차라리 대한늬우스나 보지 그러냐, 네가 그 영화를 몰라서 그런다, 제대로 그 이론을 알기나 하냐 등등의 글을 읽다보면 내가 왜 글을 올려서 이런 욕을 먹어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물론 가끔씩은 정곡을 찌르는 비판에 뜨끔한 적도 있다. 아니 가끔이라고 표현해서는 안되겠다. 지금까지 딱 2번 그랬던 기억이 있으니까. 그리고 그것은 서로 주고받는 글 속에서 공부를 하도록 부추기는 긴장을 가져와 좋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비난을 가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만 하더라도 지금 내가 쓴 글에 대한 인상평가 정도에 이렇게 맘 상해하고 있으니까. 그렇다고 댓글을 그렇게 함부로 휘둘러대는 것은 어쩐지 쓴 웃음이 나오게 만든다. 그 댓글이 채찍이 되어 기존의 생각들을 재검토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준다면 좋을 것이다. 물론 마음 한 구석엔 쓰다듬고 안아주고 기특해하는 글만을 바라기도 할 터이지만 자극이 될 수 있는 글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자기 안의 세상에만 갇혀 살겠다는 것밖엔 되지 않을터이니까. 그러나 글 쓴 사람이 무슨 생각으로 글을 썼는지에 대해선 전혀 생각해보지 않고 단순히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한 흠집내기로만 생각하고 마치 상처를 주기 위해 단도를 휘두르듯 댓글을 써대는 건 왠지 무섭다.
무시하면 되지 하면서도 쉽게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얼굴이 후끈 달아오르기도 한다. 마치 욕을 하고 싶었는데 잘 만났다 하면서 쏟아내는 글들에 기운이 꺾인다. 그러다가도 잠시 누군가가 응원하는 글을 보면 마치 100만 원군을 만나듯 기뻐한다. 나 원~. 진정해야 겠다.
내가 무엇에 이렇게 얼굴이 울그락불그락 했다 미소를 띠웠다 하는지 곰곰히 들여다보자. 난 혹시 '나는 완전무결하다'거나 '그래도 썩 괜찮지' 하는 오만함에 빠져 있었던건 아니었을까? 나 또한 무자비한 칼날을 휘둘렀던 적은 없었을까? 그리고 비판을 혹 비난으로 오해하진 않았을까?
또 한번 글에 대한 무서움증에 걸린듯 싶다. 조심스럽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담그랴는 심정으로 마냥 계속 써야 하겠지 하는 기분 저편에선 아직도 무서움이 또아리 틀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 또 나을 병일테지만 그 상처는 잊지 말아야 하겠지. 다시 한번 나를 뒤돌아본다. 혹 글만이 아니라 내 삶도 오만함이 깃들어 있진 않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