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SBS TV 스페셜 '나는 산다 김성근, 9회말까지 인생이다' 에서 고양 원더스 감독을 맡고 있는 김성근 감독을 다루었다. 만년 꼴찌팀을 우승팀으로 바꾸어 놓았던 그의 리더십이 주된 내용이다. 1%의 희망이라도 찾아내고, 절대 선수들을 버리지 않는 마음. 앞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방을 보는 잠자리의 눈을 가진 그는 한마디로 야구에 미친 사람이다. 그의 별명 야신은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의 승리 야구가 재미없다고 비판한다. 벌떼 같이 투수들을 바꾸고 희생번트가 많은 경기는 지루해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프로의 세계에선 승리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 하일성씨가 "김성근식 야구가 싫다면 그의 야구를 이기면 돼요. 간단한 거죠."라고 표현한 것은 그야말로 한국야구가 김성근의 색깔을 닮아가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그렇다면 김성근 감독의 어떤 점이 그의 야구를 강하게 만들었을까. 김성근 감독은 "살기위해 일하면 안되요. 일하기 위해 살아야죠"라고 말한다. 아뿔싸. 그가 야구에 미친 사람이었다는 것을 깜빡했다. 그의 열정은 선수들에게도 그대로 전염된다. 손바닥이 부르트도록 방망이를 휘둘러대다 보면 어느새 그것에 중독되어 버린다. 50이 한계였던 사람이 100으로 그 한계치를 늘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보면 어느새 그 과정에 중독되어 버리지 않을까. 김성근 감독은 "사람은 천성적으로 게을러요. 그래서 자기 한계를 만들죠. 그 한계 안에 있으면 편하니까"라고 말한다. 게으름을 거부하고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어찌보면 희열을 맛볼 수도 있을 법하다. 그래서 김성근 감독은 선수들에게 존경받는 멘토로 우뚝 서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열정과 끈근함이 그의 팀을 강팀으로 만든 것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런 생각이 든다. 내가 속한 팀이 꼭 강팀이 되어서 우승을 해야만 하는 것일까. 지더라도 재미있는 야구를 해선 안되는 것일까. 이런 생각은 아마추어에겐 어떨지 몰라도 프로의 세계에선 절대 통할 수 없는 일일까. 만약 팬들이 팀의 우승보다도 야구의 재미-물론 승리가 주는 재미도 크지만, 경기 자체가 주는 재미도 있지 않겠는가-에 손을 들어준다면 꼴찌라도 박수받는 일이 생길 수도 있을텐데 말이다. 하지만 그건 소설이나 영화 속에서만 일어나는 일일까. 마치 박민규의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런 상상은 <미쳐야 미친다>를 모토로 삼고 한 분야에서 정상에 서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겐 얼토당토 않은 일일 것이다. 그정도 까진 아니더라도 성공이라는 목표를 향해 죽어라 달리고 있는 사람들에겐 오히려 시간낭비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김성근 감독의 리더론이 나의 온몸의 세포를 자극하면서도 섬뜩하도록 경계가 되는 것은 최근 읽은 <피로 사회>라는 책 때문이기도 하다. 이 책 속에서는 성취를 위한 끊임없는 발걸음보다는 잠깐의 멈춤, 그리고 돌아봄, 명상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기에 김성근 감독처럼 살아가는 일은 정말로 피곤한 인생이지 않을까 라는 의문이 든 것이다. 우리는 그런 인생이 멋지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는데 실은 자본주의의 생산력 증대라는 시스템에 기름칠을 해준 것은 아닐까. 모두가 김성근 감독처럼 살아가려고 한다면 말이다.

 

물론 쉬엄쉬엄 살아간다는 것은 먹고 살만했을 때나 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리고 오히려 반대로 김성근 감독처럼 어떤 경지에 이르렀을 때 여유로움을 가질 수 있고, 그 여유로움을 만끽할 수 있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처럼 야구를 못해도 그냥 즐길 수는 없는 것일까. 메이저가 되려고 내 온몸을 불사르며 살아가는 길과 반대로 마이너로 살면서도 유쾌하게 살 수 있다면(물론 마이너가 유쾌하게 살아가는 일은 현실에서 더 힘든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부처님 말씀처럼 마음 먹기에 따라 달라질지 또한 누가 알겠는가), 당신은 어느 길을 택할 것인가. 우리는 정상-리더에 너무 목말라 있는 것은 아니었는지 김성근 감독의 말씀을 들으며 생각해본다. 목표를 향해 정찰하듯 똑바로 나아가기 보단 때론 해찰을 하며 비틀비틀 걷는 것도 행복한 일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