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희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유 대신 접속이 중심이 되는 시대, 이성 대신 감성이, 역사 대신 찰나로 삶의 축이 이동된다는 저자의 말엔 동감이다. 특히 이렇게 사이버 공간에 글을 쓰고 있는 나 자신을 지켜볼땐 정말로 접속의 시대가 왔다는 것을 실감한다. 최근의 자동차 광고나 정수기 광고에서 보듯 상품을 사는 것보다는 리스로 변화하고 있는 점도 이러한 소유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음을 실감하게 만든다.  상품의 소유보다는 체험을, 즉 깨끗한 물에 대한 체험이 중요하기에 정수기를 사는 것이 아니라 정수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요, 그 과정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과 받는 쪽은 체험을 상품화시켜 관계를 지속한다는 그의 전망은 그대로 현실이 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세계적 흐름이 그렇게 변해가고 있다 하더라고 저자가 책에서 직접 말하듯 인구의 20%만이 이 경험을 만끽할 뿐 나머지 80%는 생계유지를 위해 아직도 접속보다는 소유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저자가 말하는 접속권의 유무가 미래의 문제가 될 것이라는 측면도 실은 접속을 할 수 있는 경제적 힘, 즉 화폐의 형태를 띠고 있지 않더라도 그와 유사한 숫자의 힘을 가지고 있는냐, 즉 소유하고 있느냐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을 수밖에 없는 것이지 않겠는가?

즉 세상이 접속을 중시하는 시대로 넘어간다 하더라도 그 밑바탕은 여전히 소유의 문제가 남아있을수밖에 없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다만 작가가 우려하고 있는 것과 같이 문화의 상품화로 인한 다양성의 상실 등은 접속의 시대든 소유의 시대든 상관없이 목격되어지고 있고 예견되어질 수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작가의 말처럼 소유가 아닌 체험의 상품화가 이런 문화의 상품화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는 것일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세상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문화를 향유한다는 것은 생각만해도 끔찍하다.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지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시간적 생태적  문화적 환경 모두가 각기 다를진데 시간과 공간이 무너진 접속의 시대에선 이것이 모두 무시되어지고 오직 한가지 유형만이 살아남는다면 얼마나 슬픈 일인가?

누군가는 세상 어디를 가도 맥도날드와 콜라라는 먹거리를 먹을 수 있어 안심하고 세계 여행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난 이 생각에 아연실색했다. 인도를 가서 카레를 먹고, 프랑스에 가서 달팽이 요리를 먹고, 한국에 와서는 김치를 먹고, 일본에서는 스시를 먹고... 이래야 여행을 갖다 온 것이 아닐까? 물론 이런 지역적 먹거리는 분명 위험을 다분히 내포한다. 중국의 향료 음식을 먹을 수가 없어 여행내내 쫄쫄 굶었다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맥도날드가 좋은 음식일수도 있겠다. 또한 자신과 맞지 않는 음식에 몸이 아파 여행을 망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먹거리라는 모험마저도 포기한채 똑같은 음식을 먹으며 똑같은 건물들을 구경한다면 도대체 여행의 의미가 무엇인가? 그리고 그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없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많은 것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닌가?

접속의 시대가 시공간을 초월하고 사람들간의 차별을 없애주는 장점이 있음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무엇을 접속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권을 누가 지니고 있으며, 누가 접속할 수 있는가에 대한 권리 또한 누구에게 주어지는 가도 큰 문제다. 광장과 같은 공공의 장소가 사라진 자리를 대형 상점의 거리가 대신하면서 발생하는 개인의 소유권과 공공권의 문제 등은 접속의 문제에서도 그대로 드러날 것이다. 분명 접속이 대세이며 문화가 상품이 되는 것은 막을 수 없겠지만 그것이 우리에게 삶의 충족감을 줄 수 있게 만드려면 사람간의 직접적인 접속이 필요하며 상품자체로 고갈되어지지 않는 문화 또한 계속 양산되어져야 할 토대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겐 메마른 감성과 똑같은 인간의 모습을 뛰어넘기 위해 다양한 오프라인의 동호회와 지역사회의 잔치가 필요한 시점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