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란 자기를 발명한 인간을 배반하고 파괴하는 증기 롤러 같은  것이 아니라 인간 실존을 풍요롭게 해줄 수 있어야 한다.                                                                      

ㅡ 토머스 에디슨

 

사실 실존을 풍요롭게 해준다고 하는 기술들도 잘 살펴보면 궁극적으론 인간을 배반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세탁기를 예로 들면 가정에서의 일을 기계가 대신함으로써 갖게 되는 여유보다는 세탁기가 소비하는 전기와 물의 양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비교해보면 과연 그것으로 인해 우리가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는지 의심을 갖게 만든다. 컴퓨터로 빨라진 업무환경, 그래서 일은 줄어들었는가?

하지만 잠깐만 농촌과 같이 제 1차 생산지로 고개를 돌려보면 모내기 추수의 과정에서 요구하는 많은 사람들의 노동력을 분명 줄여준 것은 확실하다. 그런데 왜 농촌은 그리도 가난한 것일까? 가난은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혜택 또한 누릴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다.

그렇다면 정작 기술은 실존을 풍요롭게 해주고 있는 것인가? 신체적 결함으로 인해 사람과의 직접적 접촉이 불가능하거나 꺼려했던 사람들에게 있어서 인터넷은 축복이다. 이들에겐 그야말로 복음이지 않을까?

기술은 기술 자체의 특성보다는 그것을 누가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실존의 풍부함이 결정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rk829 2004-09-13 1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토마스 에디슨은 죽어서도 전기를 남겼고 전 죽어서도 제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가슴에 따뜻함으로 기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yrk829 2004-09-13 1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구를 잘못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