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표단편선 2
이노우에 야스시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6년 9월
평점 :
절판


오에 겐자부로의 <인간의 양>을 읽다보면 부끄러움에 얼굴을 못 들게 된다. 그같은 상황에 처했을때 틱낫한 스님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달라이 라마라면 어떻게 했을까? 예수님 부처님 또는 공자님은 과연 어떤 행동을 취했을까? 노자나 장자, 맑스, 알튀세르 등등의 철학자들은 또? 네루다, 도스토 예프스키, 김용택 시인, 법정 스님이라면 달랐을까? 등등 내가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다 동원해서 과연 그들이라면 어떻게 했을것인지를 무한히 상상하게 만든다.

과연 어떤 일이 있었기에...

나는 피곤한 몸을 끌고 버스에 오른다. 맨 뒷좌석 미군들이 앉아있고 그 옆에 한 아가씨가 있는데 바로 그 옆에 앉는다. 시끄럽다. 미군들과 여자 사이에 실강이가 오간다. 그러던 중 그 실강이에 우연히 내가 끼여들게 된다. 그리고 시작되는 사건들. 미군들은 나를 좌석들 사이 통로에서 엉덩이를 까발리게 만든다. 나만이 아니다. 그들의 폭력적인 위압에 많은 사람들이 엉덩이를 내 놓아야 했다. 그리고 다행히 이 놀이에 동참하지 않게 된 사람들은 안도의 함숨을 내쉬며 힐끗힐끗 쳐다본다. 자존심이 모두 무너져 내린다. 인간으로서 참을 수 없는 모멸감을 어떻게 견뎌냈는지 모르겠다. 미군들이 버스에서 내린다. 난 평정을 되찾으려 한다. 목적지다. 나도 내린다. 그 때 이 광격을 목격했던 선생 한명이 따라 내린다. 그리고 나에게 다가선다. 이 사건을 이대로 묵과해선 안된단다. 경찰서로 간다. 그러나 경찰들은 웃음만 흘릴뿐이다. 미군과 관련된 사건은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며 계속 웃기만 한다. 난 끝내 이 자리에서 도망친다. 내가 원하는 것은 집에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편히 잠을 청하는 것이다. 한잠 자고 나면 괜찮을 것이다. 하지만 선생은 계속해서 나를 쫓아온다. 꼭 해결하고 넘어가야 한다며.

그렇다. 칼을 들고 서 있는 나보다 힘이 센 사람앞에서 난 꼼짝없이 당하고만 있다. 선생도 그렇다. 그들 앞에선 한마디 말도 못하면서 나중에서야 지식인의 자존심을 내걸며 사건을 해결하잔다. 비겁하다.

하지만 나 또한 그렇게 비겁할 것임을 안다. 20대라면 달랐을 것이라며 허풍도 치지 않는다. 그래도 10대였다면 혹시 모르겠다라고 위안을 삼지도 않는다. 난 그런 비겁자일 것임을 잘 알고 있다. 그 상황에서 나 혼자 저항해봤자 개죽음밖에 없다는 것을 알면서 감히 반항은 꿈도 못꿀것임을 잘 안다.  버스 안에 타고 있던 모든 사람들이 들고 일어난다면 혹시 상황이 바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희망은 일절 갖지 않는게 신상에 좋다. 미군 8놈과(6이었던가?) 덤비겠다고 모두가 일심동체로 일어서는 일은 없을 것임을 알고 있지 않은가?

내가 너무 비관적인가? 그럼 그렇다고 치자. 모두가 어찌하다보니 그들과 맞섰다고 하자. 자, 이젠 어떡하지. 그들이 칼을 휘두르는 앞으로 내가 달려들 수 있을까?

용기는 도대체 어디에서 나오는가? 힘을 갖고 있을 때 그 힘을 바탕으로 나오는 것이 용기인가? 아마 힘을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나온 행동은 겸손이나 인내이지 용기는 아닐 것이다. 부닥쳤을 때 깨질 수도 있음을 알지만 부닥치는 것, 잘못하면 만용이다. 만용과 용기의 차이는 또 무엇인가? 깨질 줄 알면서도 꼭 부닥쳐야 할 필요가 있을때 부닥쳐보는 것, 그것이 용기인가?

세상은 나에게 타협만을 가르쳤다. 개울 속의 돌맹이처럼 살아갈 것을 가르쳤다. 용기는 동화속에서나, 영화 속에서나 존재한다. _역사 속의 영웅들을 떠올려보라고? 그래서 그들은 영웅이지 않은가? 나같은 하찮은(?) 사람이 어떻게 영웅이 되겠는가? 그래서 조용히 있고싶다. 나라도 그저 그렇게 멍청히 당했을 것임을 솔직히 시인한다. 그런데 그렇게 갑작스레 당한 모멸감은 시간이 흐르면 사라질 것인가? 그것이 끝내 사라지지 않을 그 무엇이라면...

비겁자도 괴롭다. 문득 문득 잠이 들다가도 떠오를 그 사건들. 시간이 약이 되지 못할 악몽들. 나를 짓누를 그 과거로부터 벗어나지 못할 올가미에 갇힌 삶. 어느 순간 자책감에 무너져내릴 나를 바라본다는 것.

비겁자도 괴로운 것이다. 왜 나에게 용기를 주지 않은 것입니까? 외쳤봤자 돌아오는건 자괴감일 뿐이다. 용기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을 키워낼 방법이라도 가르쳐주셔야죠.

그래서 비겁자도 괴롭습니다. 비겁자로 살고 싶지 않지만 그렇게 살아야하기 때문에 슬픕니다. 비겁자로서 살지 않아도 될 그런 세상이면 되지 않겠습니까? 비겁자이지만 그런 세상을 만들어가는데는 분명 한 몫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발 비겁자를 만들지 않는 그런 세상을 함께 만들어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비겁한 자의 변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