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로봇은 SF의 진보 또는 진화를 이루어내는 영화는 아니다. 오히려 지금까지의 영화들을 잘 조합해냈다고 평가하는 것이 옳다.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로봇이 나오는 블레이드 러너로부터 시작해서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공학 3원칙>을 그대로 드러냈던 로보캅, 기계들의 반란을 다루었던 메트릭스와 인간이 되고자 했던 AI 등등. 영화 속에선 이전의 공상과학 영화들이 다루었던 주제들을 맛있는 비빔밥으로 만들어냈다. 그러나 신선함이 떨어진다는 점은 끝내 극복되지 못한다.

다만 로봇들이 움직이는 것을 섬세히 담아낸 화면과 터널안 추격과 액션씬은 정말 기억에 남을 만 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메트릭스를 뛰어넘을 정도의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내용도 액션도 새로울 것이 없는데 이 영화는 왜 만들어졌을까 하는 의문이 떠 오르지 않을 수 없다. 그 해답은 주인공 윌 스미스가 매일 꾸는 악몽속에 드러나는 에피소드에 있다고 생각된다.

교통사고로 트럭 조수석에 앉아있던 어린아이와 자신의 차에 타고 있던 윌 스미스 모두 물 속으로 가라앉고 있다. 둘 다 모두 죽을 운명임을 윌 스미스는 직감한다. 그 때 NS4 로봇이 나타난다. 그리고 윌 스미스를 구한다. 윌 스미스는 자신이 아닌 소녀를 구하라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로봇은 오직 생존확률이 더 높은 사람을 논리적인 이성에 따라 구한 것이다. 40%대와 10%대의 차이. 그것이 삶과 죽음을 결정짓는 오직 한가지 잣대였다. 만약 사람이었다면, 둘 중의 한 명을 구할 수밖에 없다면, 어린아이를 구했을 것이라는 것이 윌 스미스의 생각이다.(물론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의 생각일 터이다) 비록 그 확률이 떨어지더라도, 즉 현실적인 가능성이 더 낮더라도 사람은 어린아이를 구하려 했을 것이라는 설명이 이 영화의 핵심이지 않나 싶다. 그래서 영화의 끝부분 '써니'라는 인간과 같은 로봇은 끝내 수리적 이성을 택하기 보다는 인간적 이성, 감성에 따라 행동을 선택한다. 진화된 로봇, 인간과 같다는 것은 바로 그런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확인을 하듯이.

이런 선택의 과정은 현실을 살아가면서 숱하게 겪는다. 비록 우리가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그냥 지나침으로써 잘 알지 못하거나 그런 식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예를 들어 북한산 관통도로의 경우 지금까지 쏟아부은 돈 때문에 그만  둘 수 없다는 논리나, 이라크 파병에서 미국과의 현실적인 관계때문에 철회하지 못하는 것 등등 우리는 수치적, 통계적 현실을 벗어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도 그런 경우는 허다하다. 월급의 수치때문에 포기해야 하는 것들이 그 얼마나 많은가? 조금 더 받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인간관계들 말이다.

인간이란 것이 무엇이라고 딱 정의할 수 있다면 좋으련만 그것은 끝내 해결하지 못할 수수께끼로 남을 것같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선택을 했을 때 참 인간적이다라고 하는 그 감정은 누구에게나 통한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 인간적이다는 것에 대한 통찰, 그것은 절대 숫자가 말해주는 것이 아님을 숫자가 힘을 발휘하는 시대에 한번 새겨볼만한 일인것 같다.

로봇의 혁명은 또는 인간의 혁명은 그렇게 숫자에 대한 혁명이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