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 김훈 世說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김훈의 문체에 대하여, 그리고 그 글에 대하여 칭찬하는 글을 여기저기서 본다. 난 개인적으로 문체에 대한 감이, 또는 인식이 전혀 없어 아직 누가 어떤 문체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분별을 잘 못한다. 영화라면 또는 음악이라면 어느 정도 감독과 작곡가에 따라 어떤 색깔을 찾아내곤 하지만 영 글은 잼병이다. 그래도 문체는 잘 모르지만 "어 이거 굉장히 잘 썼는데" 따위의 어설픈 평을 감히 내뱉곤한다. 최근 읽었던 책중에선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이라는 글이 기억 속에 남는다. 그리고 마침내 접하게 된 김훈의 이 책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정말 청산유수라는 느낌이다.

감정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그 흐름이 너무나 자연스러워 작가의 생각대로 또는 마음대로 나의 생각과 마음이 같이 흘러간다. 정말 시냇물이 졸졸졸 흘러 강까지 이르는 마냥 기분도 생각도 푹 젖어버린다. 그러나 잠시 물에서 발을 떼 흙으로 나오는 순간 그 시냇물의 근원에 대해 의심을 가져보게 된다.

밥벌이의 고단함과 신산스러움, 대학 졸업식장의 아수라장에 대한 그의 이야기는 정말 공감이 간다. 하지만 왜 밥법이가 고단해야지만 하는지, 졸업식장 행사에 졸업생은 없는지를 잠깐만 생각해보면 그의 논지를 따라가는 것이 불편해진다. 즉 그의 청산유수같은 말은 저 산꼭대기로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갑자기 중류에서 섞이는 다른 시냇물과 같은 것이다. 즉 그가 바라보는 생각의 근원과 내가 바라보는 생각의 근원은 다른 곳에 있는 것이다.

정말로 밥벌이는 고단해서는 안되지만 현재의  밥벌이가 고단하지 않는 자는 실은 고단한 밥벌이를 하는 사람에게서 많은 빚을 지고 있는 사람들일 것이며, 졸업식장에 졸업생이 없는 것은 학교가 그들에게 무엇을 해줬는지 학생 스스로도 혼란스러워 하며, 스승이라고 느낄 수 있는 애정어린 교수를 또한 만나지 못했을지도 모를터이다.  즉 그의 감정과 논리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흘러가지만 난 현실이 현실이게 된 과정을 못내 인정할 수 없기에 그 물줄기의 근원이 달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글이 정말 잘 쓰여진 것 만큼 위험의 수위도 커짐을 느낀다.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 칼날이 오히려 그 희생자들에게 가 있을 수도 있음을 상상하면 못내 그의 글의 날섬이 섬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