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구의 포구기행 - MBC 느낌표 선정도서, 해뜨는 마을 해지는 마을의 여행자
곽재구 글.사진 / 열림원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푸른빛이 도는 책이다. 포구가 가지고 있는 바다의 이미지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책장을 넘길 때마다 툭툭 쏟아지는 쓸쓸함이라는 단어때문이기도 하다. 때론 갯벌과 같이 검은 빛을 띠다가도 어김없이 푸른 빛이 감돈다.

여행이 갖는 이미지는 다양하다. 지친 몸을 거두어줄 안식처를 찾는 여행일 수도 있고 그저 낯선 환경을 바라보는 신기함을 즐기고자 하는 여행도 있다. 이런 여행들은 일상을 잠시 탈출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을뿐이다. 곧 일상으로 돌아와야만 한다는 전제로 떠나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을 찾아 떠나는 여행은 일상이 따로 없다. 여행에서도 평상의 삶도 모두 여행이기 때문이다. 곽재구가 찾아간 포구들은 낯선 환경이 아니라 낯선 자아를 찾아나서는 여행이었다.

철새가 먹이와 번식을 위해 그렇게도 먼 여행을 한다는 조류학자들의 이야기에 곽재구는 고개를 젓는다.

생각해보라. 당신같으면 단지 부족한 식량때문에 먼 산과 강을 넘어 수천 수만 리의 여행을 하겠는가. 그것도 눈앞에 닥친 기아가 아닌 얼마 후의 미래를 예측하고...... (P115)

정말 생각해보라. 떠나지 않는 철새들을. 마치 텃새마냥 한 곳에 머물러 안주하는 삶을. 날지 않는 철새는 이미 꿈을 잃고 현실에 묻혀버린 인간의 모습과 닮아있음을.

존재의 비상. 그것은 쓸쓸함만이 줄 수 있는 큰 선물이 아니겠는지요.(P176)

따라서 나를 찾아 떠나기 위한 날갯짓은 혼자서만이 가능하다. 그랬을때 바로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었던 따뜻한 빛과 체온의 가치를 알 수있다. 따뜻한 손, 포옹의 아늑함은 여행자만이 느낄 수 있는 축복이다.

한참 머뭇거리던 발걸음을 뗄 시간이 왔다. 낯선 나를 만나기를 두려워했던 마음을 벗어던지고 신발의 끈을 고쳐 매자. 질끈 동여맨 신발로 힘차게 걸음을 내딛자.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은 그 첫발부터 벌써 두근거림을 가져오지 않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