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치인리 십번지
현진 지음 / 열림원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이 저에게 말하곤 합니다.  "넌 산속에 들어가 살아야 돼"

이 때 산속이란 대부분 절간을 의미했을 겁니다. 그러면 전 이렇게 말을 하죠. "그곳도 사람 사는 곳이라고. 단순히 사람사는 곳이 아니라 하나의 조직체라고" 여기서 제가 말한 조직체의 의미란 정말 내 마음대로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라 규율에 살아야만 하는 그 어떤 삶을 말하는 것입니다. 물론 규율이 없는 완전한 삶이란 결국 죽음을 의미하겠지만 나 스스로의 규율이 아닌 타인 또는 조직에 의해 주어진 규율을 지킨다는건 억압의 의미로 다가옵니다.

여기 <산문 치인리 십번지>란 책은 3보 사찰 중 법보사찰인 해인사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연말연시의 세배풍속이라든가 안거의 모습, 행자승과 선승의 모습 등이 자동차와 40화음 휴대폰 등 현대문명과 어우러져 웃음을 자아냅니다. 역시 이곳의 생활은 제가 우려했던대로 9시에 잠을 자고 3시에 일어나는 꽉 짜인 스케줄과 공양시간, 예불시간등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갑니다. 그리고 또 끊임없이 부딪혀야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들. 물론 사람이 사람으로서 살아가려면 피할 수 없는 것들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에겐 분명 끊임없이 부정해야한 하는 그 무엇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절에서의 삶이 세속의 삶과 똑같을 순 없겠죠. 책을 읽다 내가 그렇게 자유롭고자 했엄음에도 얼마나 많은 것에 얽매여 있었는지를 깨닫습니다.

1. 올 초 교통사고를 당한 이후로 많이 생각했던 것은 내가 아프거나 혹은 죽었을때 나를 위해 울어줄 사람이나 나를 위해 목숨을 바칠 사람이 있는냐는 고민이었습니다. 그리고 서글펐던 것은 그러한 사람들을 쉽게 찾아낼 수 없었다는 것이었죠. 나 또한 누군가에게 그런 사람이 되지도 못했다는 점도 마찬가지로 날 우울하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서글퍼했던 그 사실이 꼭 그렇게 서글픈 것만은 아닌것 같네요. 만약 저에게 그런 사람들이 몇명 있다면 저는 과연 얼마나 자유로울수 있었겠습니까? 저에게 그런 사람이 없었다는건 오히려 자유를 주는 것이었습니다. 나의 삶이 아닌 타인의 삶에 깊숙히 개입되어 나의 삶이 흔들리는 순간들이 적어진다는 것, 오롯이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쓸쓸하지만 자유로운 순간인 것입니다.

2. 한 때 잡초에도 이름이 있고 그들도 살아가야 할 고귀함을 지녔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생각한 순간 풀한포기 뽑는게 쉽지 않았었죠. 이 세상을 살아가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잡초같은 삶을 살고 있는냐며 그들에게도 행복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죠. 그런데 잡초를 제거해 주는 것이 고귀한 생명을 죽이는 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더군요. 잡초를 제거하는 것은 단순히 꽃밭을 보호하는 일보다 공존을 모르는 잡초의 독선을 조절해주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는 현진 스님의 말씀은 귀에 쏙 들어옵니다. 공존을 모르는 잡초의 독선. 생명에 대한 집착이 때론 독선이 될 수도 있음을. 공존은 그렇게 희생이 필요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3. 살아가야 하는 일 자체가 목적이 되어야 삶이 아름다워진다(P197)

스님은 운전하는 자세를 통해 이걸 깨달았군요. 단순히 목적지에 닿기 위한 운전은 정말 짜증나는 노역이었을 겝니다. 하지만 운전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리면 자연 운전이 즐거워지겠죠. 인생도 그러할지 모르겠습니다. 내가 정해놓은 목적만을 향해 살아간다면 지금 이순간의 삶은 힘든 노역일뿐일겁니다. 하지만 인생 자체가 목적이 되는 순간 삶은 즐거워지리라 믿습니다.

4. 불교에서 원하는 건달의 역할은 모든 생명있는 것들은 폭력을 두려워한다는 사실을 가르쳐주는 일이다. 진정한 자객은 상대의 목숨을 해치지 않는단다. 다만 그 사람이 가진 증오와 복수심을 죽인다.(P77)

증오와 복수심이 역사를 이끌어가는 시대가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어떤 종류의 증오와 분노가 역사를 한 발 앞으로 끌어당길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바랍니다. 그 분노가 또 다른 분노를 잉태하지 않기만을. 폭력은 분노를 낳는 씨앗일 겁니다. 저는 자객이 되렵니다. 분노를 거세하고 폭력을 거두는 자객. 그런데 그 자객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지요?

 

세상에 눈먼 저에게 길을 가르쳐줄 지팡이가 필요합니다. 책은 그런 지팡이를 만들어가는 칼이 되겠지요. 서두르지 않을렵니다. 어차피 지팡이를 만드는 과정도 즐거운 삶의 일부임을 이젠 알게 됐으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