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시대가 열리고 과학이 아무리 발전을 해도 생명에 대한 비밀을 밝히는 것은 아직도 멀기만하다. 최근 뇌과학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뇌의 작동은 신비라는 이름을 빼앗기지 않았다. 신체 작용의 비밀 중 또하나 잠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추론만 가능할 뿐 정확한 작동기제는 밝혀지지 않았다. 도대체 동물들은 왜 잠을 자야만 하는 것일까. 그리고 잠은 어떤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일까. 잠을 자며 꿈을 꾸는 것은 왜일까.... 

아이가 백일을 지나면서 잠을 재우는 게 힘들어졌다. 두 눈을 자꾸 비비면서 잠이 온다는 신호를 보내면 잠 재우기에 들어간다. 하지만 어지간해선 도저히 잠을 청하지 않는다. 자꾸 보채며 가끔씩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안아주지 않으면 발버둥을 친다. 누군가는 손을 탔다고 그러지만 '와서 키워봐라 그런 소리 나오나'라는 말을 꼭 집어 삼키며, 그냥 웃어 넘긴다. 하루이틀도 아니고 한달이 넘게 아이의 잠떼와 씨름하다 보니 점차 지쳐간다. 그래도 어쩔 것인가. 잠을 자고 나서의 모습은 그야말로 천사 그 자체인 것을. 천사의 얼굴을 바라보는 게 얼마나 큰 기쁨인지는 말 할 필요가 없을테다. (가끔씩 야근이 끝나고 집에 돌아와 잠을 자고 있는 아이의 얼굴을 보면 눈물이 글썽해질 때가 있다. 끝없이 차오르는 어떤 행복감과 충만감으로 말이다. 한편 잠자는 모습을 보고 나갔다 돌아와서도 다시 잠자는 모습만 봐야 한다는 비애감으로 말이다.) 

그런데, 도대체 왜 아이들은 잠떼를 부리는 걸까. 곰곰히 생각해봤다. 정답은 없겠지만 나름 해답을 내려봤다. 우리 신체는 잠이 오면 그 기능이 저하된다. 눈꺼풀도 감기고 손발의 힘도 떨어진다. 하지만 아이는 자신의 신체가 저하되는 것을 받아들일 수가 없다. 자신을 제어하고 싶은 욕구대로 신체가 따라오지 않는 것에 화가 나는 것이다. 배고프면 울고 기저귀 갈아달라고 울면서 욕망을 채우는 아이가 아니던가. 이 제어에 대한 욕구를 타인에게로 확장한다면 그것은 권력욕이 될 것이다. 세상을 자기 뜻대로 움직여보고 싶은 욕망, 그래서 어른들도 떼를 부린다. 권력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찌질한 어른들의 행동은 바로 권력떼인 것이다. 하지만 권력떼를 부리다가 잠잠해진 그들의 얼굴은 결코 천사가 될 수 없기에 세상은 참 슬프다. 제발 떼 좀 부리지 말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