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개정증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김태언 외 옮김 / 녹색평론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티베트와 근접한 히말라야의 인도령 라다크. 중국과의 국경 쟁탈전으로 인해 자족적으로 살아가던 이 마을에 개발의 바람이 닥친다. 서구의 선진(?)국 사람들에게 당신들은 행복하지 않습니까라고 웃는 얼굴의 마을 사람들은 이제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고 배를 곪을까 걱정해야 하는 삶을 살게된다. 그렇다고 개발이 무조건적으로 나쁜 영향만을 준 것은 아니다. 영아 사망률이 줄어들었고 추위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도 있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땐 마을 사람들은 점차 자신이 행복하다는 느낌을 잊어먹게 되고 세계경제로의 편입으로 말미암아 에너지 사용이 극대화 되어 엔트로피의 증가를 맞이하게 된다. 순환적 세계관이 무너지고 만 것이다.
그것의 시작은 이렇다. 관광객들이 밀려들면서 마을 사람들은 이런 오해를 하게된다. 도대체 어떻게 살길래 일하지 않고도 외국에서 그렇게 편하게 놀고 가는지. 관광객들은 그렇게 휴가를 보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하고 돈을 모아야 하는지는 모른채 말이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한 스트레스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으며 자신이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도 모른채. 그리고 관광을 하러 왔으면서도 시간에 쫓겨 주마간산으로 여행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거기에 대중매체가 파고 들어오면서 그 속에 비쳐진 서구인의 모습이 자신들의 이상으로 떠 오르게 된다. 더군다나 그들에게 귀한 쌀 등이 무료로 배급되면서 점차 농사를 하지 않아도 되고, 화폐를 모르고 지내던 사람들이 돈을 벌기위해 점차 도시로 몰리면서 빈곤화가 가속화 된다. 무료로 배급되는 쌀과 밀은 결국 자급자족의 생활을 무너뜨리는 기폭제가 된다. 돈을 벌기 위해선 라다크도 수출형 작물을 재배해야만 하고, 그것은 또한 대량생산을 위해 기계를 들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또 돈을 벌어야만 하는 악순환이 계속 된다. 점차 이런 경제체제는 중앙의 계획을 따라야 하게 됨으로써 예전에는 공동의 일을 알아서 행하던 사람들이 결코 스스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세계화의 물결이 결국 사람을 변하게 만든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는 이런 변화의 물결을 넔을 놓고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가? 발전을 하되 예전과 같은 행복감을 맛볼 수는 없는 것인가? 라다크에선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책이 쓰여진 지 한참이 지난 지금에서는 과연 그 마을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지만 그들의 실험이 성공하기만을 바랄뿐이다. 스스로 인구를 조절하고 충분한 여가시간을 갖으면서 행복감에 젖어 살 수 있는 마을이 그 어느 곳에 존재한다면 우리라고 이루지 못하겠는가? 책의 표지처럼 환히 웃는 사람들이 살 수 있는 그런 마을을 꿈꾸어본다.
-책의 제목처럼 이 실험적 마을의 모습은 이미 과거 우리 전통적 마을과 닮아 있다. 그래서 미래는 아주 오래된 느낌이다. 특히 이런 마을의 모습은 노자의 도덕경 속에서 이야기하는 유토피아와도 닮아 있다. 부유한 사회가 꼭 행복한 사회가 아님을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할 것 같다. 부는 행복의 필요충분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