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늑대
팔리 모왓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름달과 늑대
아이를 잡아먹고 성질이 거친 야성의 동물.
사람을 해치는 늑대인간.
그리고 순록을 싹쓸이 해서 사냥꾼들의 생존을 위협(?)한다.

이건 정말 늑대를 두번 죽이는 일이다. 작자는 캐나다 늑대 서식지를 찾아 홀로 늑대들을 지켜본다. 순록을 너무 많이 사냥하는 그들의 모습을 밝혀낼 것이라는 상부의 희망을 안고서. 하지만 그는 오히려 그 반대의 모습을 발견한다. 일부일처제의 가족관계, 함부로 생명을 죽이지 않고 자족하는 사냥 등등 인간보다 나은 모습에 놀란다. 에스키모인들의 전설마냥 약하고 병에 걸린 순록을 잡아먹음으로써 강한 순록들만이 세상에 퍼지도록 돕는 생태계의 적자생존이라는 법칙에 충실한 늑대와는 반대로, 어떻게 인간의 개입으로 생태계가 망가지는지도 알게된다. 작자는 늑대와 에스키모인들 사이에서 좌충우돌 우스꽝스럽게 적응해가며 그들을 이해하게 된다.

하지만 인간이 만들어놓은 이미지의 힘은 우리의 이성마저도 제압한다. 늑대가 인간을 해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작가는 한순간 미친듯이 날뛰며 그들을 다 쏴 죽이고 싶어한다. 본부로 귀환하기전 늑대굴을 조사하다 느닷없이 발견한 4개의 눈동자. 비행기를 피해 숨어든 어미와 어린 늑대. 작자는 그들을 관찰하며 키워 온 애정을 순식간에 망각한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이해를 간단하게 부인한다. 눈동자를 맞는 순간 찾아오는 두려움. 그것은 적나라한 공포심으로 물들어 급기야 적개심을 불러 일으킨다. 얼마나 나약한 인간의 이성인가?

선입견 편견, 몰이해로 비롯된 이미지들이 늑대 말고도 또 얼마나 많이 있을까? 어느 순간에도 꿈쩍 않을 이성이란 불가능한 것인가? 사냥을 나가기전 늑대가 울고 있다. 하지만 지금 이 대한민국이라는 땅에선 그 늑대의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PS 절에 가면 삼신각이 있다. 백발에 흰 수염을 길게 늘어뜨린 도사가 호랑이를 팔에 괴고 앉아 있다. 백두산 호랑이는 분명 백두대간에 살고 있었다. 그리고 이 호랑이가 살았다는 것은 자연이 그만큼 살아있었다는 의미다. 먹이사슬의 최정점의 동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생명체들이 모두 자신의 생명을 맘껏 누릴수 있었음을 상징한다. 호랑이가 사라진지 오래, 늑대도 사라졌다. 이젠 삼신각의 도사는 자신의 팔 아래 어떤 동물을 괴고 앉아 있을수 있을까? 산신령은 슬프다. 인간이 기원을 한대도 그는 더 이상 들어줄 수 없다. 잃어버린 세계를 우리는 이제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