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의 뒤편으로 가는 자전거 여행
이응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의 맨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내 손가락 끝에선 외로움이 뚝뚝 묻어난다. 도대체 이 소설가의 나이는 몇이나 됐을까? 책의 맨 첫장을 펴고 약력을 살핀다. 70년생이라~, 아 그런데 이 책의 단편들이 94년부터 나왔으니 20대 중반에 쓰여진 것이군. 그래 나의 20대도 이렇게 외로웠던가?
태양, 태음, 소양, 소음처럼 체질을 나누듯 누군가는 고독체질이라는 것을 갖고 태어날지도 모른다. 정말 그 근거를 알 수 없는 지독한 외로움. 하지만 그 외로움을 견디지 못해 생을 포기하거나 그것을 잊으려 거짓 인생을 살지 않는 자들이 지녀야 할 고독과의 친분. 소설은 외로움에 맞서 싸우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외로움의 원인을 찾으려 애쓰지도 않는다. 비가 쏟아지고 나서 하늘이 유독 푸르듯 외로움이 자연스레 휩쓸고 지나가면 무엇인가 빛이 보이리라. 외로움은 그렇게 비처럼 자연스런 무엇일터이다.
책 속에 나오는 단편들의 맨 끝 구절들만 모아본다.
별빛같은 아픔이.
평생 고래 꼬리만 바라보고 살아가던 한 외로웠던 사나이에게, 난 결코 그가 실망할 수 없는 고래의 몸통을 그려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숙취로 머리가 잠시 아팠을 뿐이었다.
500페이지가 넘는 소설책을 쓰는 사람은 외로운 인간이라 생각하며 서울로 돌아오고 있었다.
봄이 되어도 집은 옮기지 않기로 맘먹고 있었다.
사랑과 평화가 존재하지 않은 것이라 하더라도 이젠 적어도 꿈꿀 순 있다는 자신감이 든다.
세상을 허무하게 바라보면서도 끝내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은 아직 작가가 젊기 때문이었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이 외로움의 희망은 도대체가 무엇이란 말인가? 소설 속에선 그 답을 찾을 수 없지만 아마 포옹이지 않을까 싶다. 외로운 자들끼리 손을 내밀어 가슴을 끌어안는 것, 달의 뒤편엔 그런 따스함이 있기를 기대할 뿐이다.